• 최종편집 2025-03-21(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4.06 11:2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주재훈 목사.png
길목교회 주재훈 목사

 종려 주일이며 고난 주간을 앞둔 주일 아침이다. 고난 주간을 맞이하면서 예수님 당시의 많은 사건과 여러 사람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어쩌면 신앙생활은 선택과 그 선택에 따른 책임이라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무엇을 선택할 것인지 결단하고 그 선택에 따르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는 것 그것이 참다운 신앙인의 모습이라 여겨진다. 

 

 본문은 그런 점에서 선택할 때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과 선택한 후에 그 일에 대해서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며, 거기에 따르는 책임까지 감수 할 수 있는 온전한 그리스도인에 대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 즉 반면교사의 모습으로 우리에게 참된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첫째:선택의 동기(24a)

 본문은 빌라도가 예수를 풀어 주려고 노력했지만 아무 성과도 얻지 못했다고 기록하고 있다(24a). 

 빌라도는 자신 앞에 서 있는 예수 그리스도가 어떤 존재이고, 그 앞에서 침을 튀기며 죄를 고발 하는 증인들의 진실성에도 관심이 없다. 

 선택의 동기는 자신의 입신양명에 걸림돌이 되지 않는 것이 최우선순위이다. 따라서 군중들의 함성이 그를 두렵게 했고, 그 군중이 무서운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앞길이 막힐 것을 두려워하여 예수를 십자가에 내어 주는 죄를 범하고 만다. 

 흔히 죄를 짓는 것이 달콤한 유혹에 걸려 넘어져서 죄를 짓는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정말 결정적인 죄는 두려움 때문에 짓게 된다. 

 유혹으로 인해 짓는 죄는 은밀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반면 두려움으로 짓는 죄는 공개적인 자리에서 짓는 죄이기 때문에 주는 상처가 훨씬 크고, 오랫동안 마음 깊은 곳에 자리 잡고 우리를 괴롭힌다. 오늘 내가 만나는 두려움은 무엇인가? 그저 내 것을 빼앗길 것 같은 인간적인 두려움 때문에 믿음을 잃어버리는 어리석은 자가 되지 않기를 간절히 축원한다. 


둘째:책임의 회피(24b)

 눈에 보이는 두려움에 굴복한 사람의 모습은 어떻게 되는가? 

 오늘 24절 하반절을 보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고 회개하기 보다는 책임을 회피하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빌라도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 내어 주면서 자신은 이 일과는 아무런 상관도 없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손을 씻는다. 손은 씻지만 그의 죄는 씻을 수 없다. 손을 씻어서 자신이 아닌 군중들이 선택한 일이라 명분은 가질 수 있어도 죄가 없는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는 죄에 대해 그는 절대 자유로울 수 없다. 

 어디를 가든 눈에 보이는 교회와 성도들의 숫자를 자랑하지만 빌라도처럼 손을 씻는 사람들만 보이고, 두려움에도 자신의 길을 묵묵히 가는 그리스도 같은 사람은 눈을 씻고 찾아봐도 찾을 수 없다. 

 다음에도 기회가 있기 때문에 지금은 물러서도 된다는 말에 귀를 기울이고 손을 씻는 어리석음을 범하지 말라. 내가 책임지겠다고 선포하라. 이럴 때 하나님이 내 인생에 깊이 관여하시고 주님 안에서 참된 승리가 무엇인지를 경험하게 하실 것이다. 


셋째:책임과 결과(25~26)

 “백성이 다 담대하여 이르되 그 피를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돌릴지어다”(25절) 

 그 피가 어떤 피인가? 하나님이 흘리시는 피 눈물이며, 독생자를 죽이기까지 사랑하는 하나님의 마음이다. 이 얼마나 어리석은 모습인가? 

 자신들의 죄를 위해 오셔서 죽으시고 흘리시는 그 피를, 자신들의 죄를 덮고 가리는 일에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아집과 욕심과 못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죄악의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목적만을 바라보지 말라. 하나님의 뜻을 바라보라. 

 하나님이 나를 통해서 이루시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깨닫기를 기도하라. 

 고난 주간을 시작하면서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많이 생각하고 묵상하며 보내야 한다. 나를 먼저 돌아보고 내가 빠져 나갈 구멍을 찾기 보다는 내가 메워야 할 구멍이 무엇인지를 찾는 삶을 살 때, 우리는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게 될 것이며, 그와 동시에 그리스도의 영광에 동참하는 축복을 누리게 될 것이다. 


 고난 주간 한 주간을 시작한다. 고난 주간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무거운 부담감으로 다가오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거룩한 부담감은 우리를 걸려 넘어지게 하기 위함이 아니라 참 기쁨을 깨닫기 위한 출발점임을 명심해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을 살면서 어떤 선택을 하며, 그 선택에 따른 책임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를 가장 정확하고 분명하게 보여주신 분이시다. 

 그는 온 인류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 죽으실 것을 선택하셨고, 그 선택을 친히 십자가에 달려 죽으심으로 온전히 책임을 지셨다. 

 2023년 고난 주간을 보내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의 부활에 동참하기 위해 내가 무엇을 선택하며, 어떤 책임을 지며 살아가고 있는지를 돌아보며, 다시금 믿음 안에서 바로 서는 고난 주간이 되길 축원한다.  

전체댓글 0

  • 45675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선택과 책임 (마27:24~26)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