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래불사춘’과 교회
강경신
서울의 벚꽃이 100년 만에 가장 일찍 피었다는 꽃소식과 함께 그 어느 때보다 봄이 빨리 우리 곁에 찾아왔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여전히 ‘춘래불사춘’이다. 봄이 와도 봄이 아닌 것이다. 그동안 교회는 욕을 먹어도 너무 많이 먹었다. 세상 사람들이 무지막지하게 욕을 하고 싸잡아 비난을 해도 교회는 묵묵할 수 밖에 없었다. 어쩌면 코로나 펜데믹의 가장 큰 희생자가 교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 가운데 2021년 부활절을 맞았다. 화창한 봄과 더불어 찾아온 부활절이다. 하지만 교회는 조용하고 잠잠하다. 기독교 최대의 축일인 부활절을 앞두고 냉냉하기만 하다. 교회의 사회적 위상과 권위가 크게 떨어지고, 교회에 대한 불신과 비난의 소리가 드높아도 숨을 죽이고 있다. 자칫 말 한마디라도 꺼내면, 세상 사람들이 온통 달아오른다. 어쩌다 교회가 이 지경에 이르게 되었을까? 단순히 코로나 때문일까? 세상 사람들의 편견과 오해 때문일까? 아니면, 교회에 대한 매스컴의 부정적 보도 때문일까? 혹은 일부 정치인들의 반기독교적인 정서 때문일까? 물론 이런 저런 나름대로의 그럴듯한 이유를 우리는 찾을 수 있고, 그러한 것들이 교회의 불신을 조장하는 여건이 되기도 한다는 것은 일면 수긍이 간다. 하지만 우리가 이 사실을 알아야 한다. 일부 교회지도자들의 이같은 의혹들은 오늘의 교회를 새롭게 하는 일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우리들은 코로나 사태를 맞이하면서, 여러 학자들과 전문가들을 통하여 코로나 이후의 교회에 대하여 심도있게 논의하며, 다양한 대안과 해법을 모색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교회의 공공성’의 이슈가 집중적으로 부각되었다. 대한민국 교회가 사회적 위상과 영적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교회의 공공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의 현실은 “과연 교회가 세상에서 대안이 될 수 있는가?”를 직시하게 하고, 교회로 하여금 심각한 자기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교회의 공공성은 “교회가 진정으로 섬김의 공동체가 되느냐?” 라는 물음과 “교회가 어떻게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 갈 것인가?” 라는 물음으로 귀결된다. 물론 이 두 가지 물음은 새로운 물음이 아니다. 이미 2천년전 초대교회부터 끊임없이 물어왔던 질문이다. 기독교는 그 시작부터 세상 사람들에게 신선한 삶의 충격과 새로운 변화의 도전이 되었다. 곧 교회가 세상에서 ‘대안공동체’가 된 것이다. 세상 사람들의 눈에 이질적이고 배타적인 종교집단이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삶의 방식이 그들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보였던 것이다.
오늘날에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코로나 사태를 경험하면서 교회의 공공성이 절실한 이 때, 교회는 이 물음에 대한 분명한 대답을 가져야 한다. 과연 교회는 어떤 대답을 해야 할까?
이 두 가지 물음에 대한 해답은 바로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에 있다. 아무리 세상이 변하고 사람이 달라져도 교회는 ‘다른 복음’ ‘다른 십자가’를 전해서는 안 된다. 십자가를 종교적 표상과 기복의 도구로 삼아서는 절대로 안 된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금 십자가, 은 십자가’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큰 십자가, 작은 십자가’를 말해서도 안 된다.
교회는 이기적인 욕망과 탐욕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주저하지 말고 십자가를 져야 하며, 섬김의 길을 꿋꿋이 걸어가야 한다. 그렇다. 교회가 진실로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로 돌아가면 되는 것이다. 그러면 교회가 살고, 교회가 세상을 살릴 수가 있는 것이다.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다가 다시 사신 예수께서 오늘의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분부하신다. “너희는 부활의 능력으로 고난의 십자가를 지고 세상에 나아가라.”
/동부교회 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