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8.29 11:2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최규창국장-최종.jpg
 
큰 집엔
금그릇 은그릇이 있고
나무그릇 질그릇 다 있다셨네.

나는 그 중에 뭐 되어 곱게 뵈나?
금그릇이야 어림있나
은그릇도 될 수 없어
나무그릇 그거 돼도 잠도 안 오겠다만
윤도 없는 질그릇 그런거나 되었으면.

성령의 오짓물 입혀지면 더 좋겠네.
그래서 그 왜 그런거 있지
갓이 큰 어르신네 상에서도
제 실 참 잘 해낸 조선의 뚝배기
더도 말고 그저 그런거나 되었으면.

아니지, 뚝배기는 이 빠지면 개밥그릇
금이 가도 테 메우면 새로 쓰이는
큼직한 독 그러거나 되었으면.
믿음도 담고/소망도 담고
사랑도 아구까지 차게 담아 갈릴리 가나의 돌항아리 여섯처럼
주인에게 곱게 뵈어 귀히 쓰이는
질그릇 그저 그런거나 되었으면.
          - 「그저 그런거나」 의 전문

이 시는 4연으로 구성됐다. 일상적인 삶을 그릇의 종류와 사용의 용도에 비유하고, 그 사용의 용도를 전개한다. 화자는 귀히 쓰이는 금그릇과 은그릇보다, 질그릇으로 쓰임 받기를 바란다. 그릇 중에서도 화려한 그릇보다, 소박한 질그릇과 뚝배기, 그리고 큼직한 독(항아리)으로 쓰임 받기를 희구한다.

1연은 디모데후서 2장 20절인 “큰 집에는 금그릇과 은그릇뿐 아니라, 나무그릇과 질그릇도 있어 귀하게 쓰는 것도 있고, 천하게 쓰는 것도 있나니”란 구절을 연상시킨다. 그래서 큰 집에 있는 그릇의 종류를 열거한다. 큰 집은 부잣집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그릇을 사용한다. 그릇에 따라 사용하는 용도도 다르다. 금그릇과 은그릇은 맛있는 음식이나 귀한 것을 담는 데에 사용된다. 그리고 나무그릇과 질그릇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사용된다. 그래서 ‘큰 집’, 즉 부잣집을 떠올리며 그릇의 용도를 말해 준다. 금그릇과 은그릇은 소중하게 보관하면서 사용하지만, 나무그릇과 질그릇은 아무렇게나 사용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제2연은 신앙인의 겸손한 삶을 보여 준다. 여러 가지 그릇 중에서도, 윤기도 없는 질그릇이 되었으면 한다. 금그릇으로 사용되기는 어림도 없이 될 수 없고, 은그릇도 될수 없다고 고백한다. 또한 나무그릇만 돼도, 고맙고 황홀한 마음 때문에 잠이 안 올 것으로 여긴다. 이 얼마나 겸손한 삶인가. 어떤 욕심도 부리지 않는다. 명예나 사치스러움을 지니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삶을 염원한다. 그것은 신앙인의 겸손한 삶을 소유해야만, 선택할 수 있는 겸손함도 지닌다.

제3연은 올바른 신앙인의 삶을 염원한다. 성령의 오짓물을 입혀 구운 뚝배기가 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오짓물은 윤기를 내는 잿물이다. 흙으로 만든 그릇에 발라 구우면 윤기가 난다. 성령의 오짓물을 입혀 구운 뚝배기는, 성령의 윤기가 나는 뚝배기이다. 그것은 성령으로 거듭나고, 성령으로 무장한 신앙인을 의미한다. 이러한 뚝배기는 갓이 큰 어르신네의 상에서도, 뚝배기의 역할을 잘 감당한다. 갓이 큰 어르신은 선비이며, 학덕을 갖추고 어질고 순한 사람이다. 선비집의 뚝배기로 비유한다. 또한 ‘조선의 뚝배기’는 시류(時流)에 물들지 않고 순수한 의미를 지닌다.

제4연은 하나님으로부터 귀히 쓰임받는 삶을 희망한다.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뚝배기는 이가 빠지면 개밥그릇이 된다. 항아리인 독은 금이 가도 철사로 테를 두루고 메우면 새로 쓰임을 받는다. 그래서 화자는 큼직한 독이 되어 믿음도 가득 담고, 소망도 가득 담고, 사랑도 가득 담아 귀히 쓰임 받겠다는 의지이다. 믿음과 소망, 그리고 사랑을 지닌 신앙인이다. 그리고 “주인에게 곱게 뵈어 귀히 쓰이는”란 구절에서, ‘주인’은 하나님이다. 또한 ‘곱게 뵈어’는 부족함이 없는 신앙인의 삶이다.
/시인·한국기독교문인협회 전 회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 기독교시 다시 읽기 35] 쓰임받는 삶의 길 - 권숙월의 「그저 그런거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