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사기에 나타난 하나님의 영(2) - 한세대학교 차준희 교수
오늘의 신학동향 - 성서신학

사사기 3장 10절에서는 야웨의 영이 선택된 구원자에게 “임하였다”. 그런데 여기서는 야웨의 영이 기드온을 “감쌌다”.
두 구절이 보여주는 야웨의 영의 임재를 표현하는 동사가 다르다. 히브리어 ‘라바쉬’의 사전적 의미는 “옷 입다”이다. 문자적으로 본다면, “야웨의 영이 기드온을 입었다”가 된다. 그로스(W. Groß)와 독일의 게제니우스(Gesenius) 사전(18판)은 이런 번역을 취한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야웨의 영이 기드온에게 옷을 입혔다”라는 번역을 선호한다. 클라인스(D. J. A. Clines)가 책임 편집한 「고전 히브리어 사전」도 ‘라바쉬’를 “옷 입히다”, “덮다”로 번역한다. 또한, 최근 이 부분을 심도 있게 연구한 정일승도 “여호와의 영이 기드온을 옷 입히셨고”라는 번역을 제안한다. 어쩌면 두 가지가 문법적으로 가능한 것은 사사기 저자가 의도한 모호성 전략인지도 모른다.
“야웨의 영이 기드온에게 임하시니”라는 표현은 두 군데에서 더 나온다(대상 12:18; 대하 24:20). 이러한 강력한 메타포는 아주 드문 표현이며, 문자적으로 보면 “야웨의 영이 기드온을 입었다”는 것을 말한다. 즉 기드온은 그를 아바타로 삼고 그 안에서 역사하는 야웨의 영을 감싸고 있는 보자기가 된다.
야웨의 영이 임하였을 때의 옷니엘처럼 야웨의 영으로 입혀진 기드온도 동료들을 전쟁으로 소집하기 위하여 나팔을 불었다(삿 6:34). 이어서 기드온은 미디안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고(삿 7:1-25), 에브라임과의 갈등도 평화적으로 해결하여 상호 화해를 성공적으로 이루어 낸다(삿 8:1-3). 그러나 이후부터 기드온은 변질된다(삿 8:4).
많은 학자들은 기드온 내러티브가 사사기 한 가운데 놓여있는 일종의 전환점이 된다고 분석한다. 즉 기드온 내러티브 이전에는 비교적 긍정적인 사사들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는 반면, 그 이후로는 부정적으로 보이는 사사들의 이야기로 이어진다.
기드온은 미디안 두 왕 세바와 살문나를 추적하다가(삿 8:5-9), 결국 이 일로 인하여 동족인 숙곳과 브누엘 사람을 살육하기에 이른다(삿 8:10-17). 기드온은 자기 민족을 죽인 첫 사사가 된다. 기드온이 미디안 두 왕을 추적한 이유가 개인적인 원수를 갚으려는 것이라는 사실은 국가적인 공동체의 구원을 위하여 세워진 사사로서는 합당하지 않다. 기드온은 사적인 목적을 위해서 공적 권력을 남용한 것이다.
이후 이스라엘 사람들은 미디안과의 전쟁을 대승으로 이끈 기드온을 왕으로 추대하려고 한다(삿 8:22). 기드온은 공식적으로는 왕권을 거부하였지만(삿 8:23), 실상은 왕적인 권리를 행사하고 급기야 에봇을 만들어 우상숭배의 길을 열어놓게 되었다(삿 8:24-28). 기드온은 소명을 받을 때는 모세처럼 행하다가(삿 6:15), 결국 아론이 되어버렸다(삿 8:27).
기드온 내러티브에서 눈에 띄는 것은 ‘두려움’이다. 기드온은 야웨의 사자를 만났을 때 두려워한다(삿 6:23). 또한,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아버지가 섬기는 바알의 제단을 파괴하고 나서도 보복을 두려워한다(삿 6:27). 미디안과 전쟁하는 진영으로 가는 것도 두려워하여 부하와 함께 대동한다(삿 7:10).
기드온은 본래 옷니엘과 같은 군사적인 지도자가 아니었다. 그는 군사적 지도자로서는 부족하고 소심한 겁쟁이였다(삿 6:15). 기드온은 두려움을 떨치지 못했으며(삿 7:10), 승리 이후에는 변질된 삶을 보여준다(삿 8:22-32). 기드온에게 임한 야웨의 영은 지속적이지 않고 일시적이었으며, 개인의 변화까지는 이끌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