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1(금)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학술대회

“신명기는 믿음과 소망과 사랑의 설교”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8.07.12 09:1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20면 신학탑.jpg▲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의 이번 학술대회는 신명기를 주제로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신명기 법도와 규례, 지킬 수 없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점 제기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서 쫓겨나 포로로 잡혀 갈 것을 예고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회장=현창학박사)는 지난달 28일 빛과진리교회(담임=김명진목사)에서 ‘제36차 학술대회’를 열고, 신명기를 주제로 발제와 토론을 진행했다. 

  「신명기의 해석과 설교」란 주제로 열린 이번 대회는 이한영박사(아신대)와 강규성박사(성서대), 김영욱박사(총신대)가 각각 발제했으며, 성주진박사(합신대)가 좌장을 맡았다.

  이한영박사는 「신명기 1-11장의 해석과 설교」란 주제의 발제를 통해 신명기 1장부터 11장까지를 주해했다. 이박사는 “신명기 1-11장은 에덴에서 모압에 이르기까지의 총체적인 토라문맥 안에서 읽어져야 한다”며, “결론적으로 신명기 1-11장은 유일신 야훼 하나님의 믿음과 소망과 사랑의 설교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오늘날 영적인 광야에서 우상과 탐욕으로 방랑하고 있는 신세들을 향해 설교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설교할 수 있는가?”라고 물으며, “모세와 같은 열정과 희생으로 성경의 본문을 현시정황으로 조명하여 세밀하게 해석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복음 안에 믿음과 소망과 사랑의 메시지를 가장 효과적인 기법으로 청중들에게 전하고 설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강규성박사는 「신명기 12-25장에 대한 해석과 설교」란 주제의 발제에서 해당 부분에 대한 주해를 통해 해석과 설교와 적용의 통합에 대해 고찰했다. 강박사는 “여호와는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왕을 비롯한 모든 공직자는 물론 이스라엘 모든 백성은 여호와께서 명령하시는 법도와 규례를 지켜야 한다. 그들은 다른 신을 만들거나 따라서는 안될 뿐 아니라 그들을 구속하신 여호와를 이용해서도 안된다”며, “이것은 지금 이 땅에서 살고 있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적용된다. ”고 주장했다.

  강박사는 “신명기 12-25장의 규례와 법도는 세상과 구별되는 거룩한 공동체, 즉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방법이다”며, “예수 그리스도는 이 땅에 오셔서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시므로 사역을 시작하고 하나님 나라를 가르치시는 것으로 지상사역을 마감하셨다. 그리고 우리에게 이 땅에 하나님 나라가 오게 해 달라고 기도하라고 하셨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명기 12-25장의 법도와 규례는 너무 이상적이기에 우리가 지킬 수 없는 것인지, 아니면 우리가 원하지 않는 것인지, 또 우리는 하나님 나라를 구하지만 우리가 왕이 되어 우리의 왕국을 꿈꾸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영욱박사는 「신명기 26-34장의 신학과 설교」란 주제의 발제를 통해 신명기 전체의 구조를 라부샤흐네의 구조분석을 통해 살펴본 후, 해당 구절이 가진 위치와 신학적 메시지가 무엇인지에 대해 설명했다.

  김박사는 “라부샤흐네의 구조분석에 따르면 26장은 법전의 맨 마지막 장이며, 27-29장은 모압언약을, 그리고 30-34장은 신명기의 닫는 부분으로 이스라엘의 미래를 조망하고 있다. 이런 구조분석은 신명기 본문 자체가 말하고 있는 어떤 신학적 전제가 없는 역사적 상황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박사는 “신명기 26-34장은 가나안 땅에서의 이스라엘의 미래역사를 그리고 있다. 이스라엘의 역사는 언약의 저주로 끝이 날 것을 예고하지만 그 가운데 한 가지 긍정적인 사실은 메시야를 대망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며, “이스라엘은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율법에 순종해야 한다는 것이 신명기 전체에 흐르고 있는 사상이다.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서 율법에 순종하여 여호와를 잘 섬기며 산다면 그들은 복과 생명을 누릴 것이지만, 율법에 불순종하여 다른 신을 섬겨 언약을 깨뜨린다면 저주와 사망을 당할 것이다. 이스라엘은 전쟁에 져서 가나안 땅에서 쫓겨나며 포로로 잡혀 갈 것을 예고한다. 모세는 이것을 32장의 증인의 노래로 확실하게 한다”고 강조했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학술대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