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를 앞두고 각 종교별로 자신들의 종교적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정치적 압력을 가하고 있다. 기독교는 한국기독교공공정책협의회가 앞장서서 각 정당에 제기하는 등 정치권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실질적 로비를 통해 실리를 취하는 타종교에 비해 실질적 이득은 미비한 상황이다.
그 동안 불교와 천주교에 비해 기독교는 고질적인 분열의 핸디캡으로 인해 정치적 이슈에 대해 상대적으로 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 불교의 경우 정부의 종교문화재 지원금을 비롯해 다양한 정부지원을 통해 실리를 취하고 있고, 천주교도 시민단체 조직을 통한 정치권 로비와 단일화된 움직임을 통해 20대 국회의원 4명중 1명이 천주교 신자로 확인될 정도로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해가고 있는 것과는 대조된다. 정치권이 기독교에 비해 타종교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나마 해소하고자 역할을 맡았던 기독교단체들의 활동에 대해서도 각 정당은 립서비스 수준의 대응으로만 일관하고 있다. 문제는 기독교의 경우 개교회주의 와 분열로 실질적 도움이 되는 정책을 관철시키지 못한다는 점이다. 다양한 국책사업 지원을 통해 교세를 늘리는 불교와 시민단체 등을 통해 정치권에 영향력을 확보하고 있는 천주교에 비해 기독교는 항상 손가락만 빨고 있다.
이번에 각 정당에 제기된 8가지 질문은 저출산문제와 근대문화 특별위 구성, 반사회적 사이비 집단의 문제, 자살예방 및 낙태반대, 중독예방과 치료, 사랑이 넘치는 청정시군 만들기, 맑고 깨끗한 환경을 위해, 동성애 보호조장 인권조례 등이라고 한다. 이조차도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질문들이 기독교에 대한 정부의 실질적 지원과는 거리가 있다.
기독교가 정부로부터 물질적 정치적 지원을 받고, 나아가 사회적 인식의 변화까지 이끌어내기 위한 큰 그림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타 종교의 경우 상대종교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공격하는 연구원도 존재하는 반면 기독교는 이에 대한 대응과 인식자체가 전무하다. 내부의 분열로 인해 외부공격에 면역력을 잃은 기독교의 변화가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