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세계선교협, 제2차 이주민선교컨설테이션
한국교회와 이주민이 함께하는 사역 제시
◇한국세계선교협의회는 「지역교회, 이주민선교의 주체」란 주제로 이주민선교컨설테이션을 진행했다.
한국세계선교협의회(사무총장=강대흥선교사)는 지난 16일 새중앙교회에서 제2차 이주민선교컨설테이션을 「지역교회, 이주민선교의 주체」란 주제로 진행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한국교회와 이주민들이 함께 파트너십을 가지고 사역을 해야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영상으로 축사를 전한 사무총장 강대흥선교사는 “이번 선교컨설테이션은 한국에 나와서 일하는 이주민들을 향해 어떻게 다가갈 수 있을까를 준비했다”면서, “이번에는 특별히 참석자가 선교사가 아니라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준비했다. 목회자들이 자연스럽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기조발제를 전한 김찬곤목사(안양석수교회)는 “이주민선교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파트너십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 이다. 외국에서 우리나라로 들어온 사람 중 많은 사람이 복음에 눈이 띄어 있다”면서, “그들과 함께 한국교회가 같이 가야한다. 우리는 그들과 동등한 인격 속에서 파트너십을 가지고 사역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항충진교회 M센터의 사례를 소개한 신재천장로는 “처음에는 캄보디아 사랑의 문화원이라는 이름으로 세웠다. 안식년 및 국내 방문선교사님과 충진교회 파송 캄보디아 선교사님들의 동역이 사역에 도움이 됐다. 또한 사역팀원이 캄보디아어 셀프스터디를 통해 말씀을 준비하고, 캄보디아 성경을 함께 읽는 등의 사역을 진행했다”면서, “담임목회자가 새롭게 바뀌면서 선교적교회를 지향하게 됐다. 그러면서 포항충진 M센터라는 이름으로 센터가 세워졌다. 그리고 2024년 캄보디아 전임사역자의 필요성에 제시됐고 청빙을 했다”고 말했다.
또한 충진 M센터의 사역철학과 현재사역에 대해 「△삶(의류/중고생활용품 지원, 의료지원) △공동체 (체육활동, 문화탐방/나들이, 기념일 축하) △선교(현지가족 방문, 교회의 선교적 나눔과 실천) △예배(캄보디아 예배, 네팔예배)」로 설명했다.
매향교회의 사례를 발표한 정진학목사는 “대형교회에서 이주민사역을 하다가 열린열방선교교회라는 이름으로 분립개척을 하게 됐다. 그러다 노인 중심의 전통교회인 매향교회와 합병하게 됐다”면서, “합병을 하게 되면서 열린열방선교교회는 예배당 보유의 문제를 해결하게 됐다. 매향교회는 젊은 세대부족의 역할이 해결됐다. 두 그룹은 평소에는 따로 예배를 드리지만 한 달에 한 번 정도 연합예배를 드린다. 이 예배를 어르신들이 너무나 기뻐했다. 이외에도 함께 교제를 하고 소그룹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주민선교는 목회와 선교가 함께 가야 한다. 교회 안에서 한국인과 함께 세워가는 주체자로 세워야 한다. 선교와 목회가 균형을 갖춘 통합적 사역모델이 필요하다. 분리와 통합의 균형이 필요하다. 이주민들의 2세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면서, “전세대 사역으로 가야 한다. 선교에서 목회로, 목회에서 선교로 가는 사역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주민 사역은 지역사회와의 연결이 필요하다. 외국인들이 이곳에서 터전을 잡으면 지역사회의 일원이 되는데 이러한 부분에서 사역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오기훈목사가 「대형교회의 이주민 접촉 포인트」, 신치현목사가 「다국적 대상 도시교회의 전략」, 김혁준선교사가 「다문화 2세 돌봄 중심 사역」, 군주은목사가 「청년 유학생 대상 지역교회의 구조적 접근」, 양희성선교사가 「한국사회의 다문화 흐름과 이주민의 현재 상황」, 최현주목사가 「성경이 말하는 타자와 이방인 그리고 교회가 감당할 책임」, 홍광표선교사가 「세계선교의 패러다임 전환 속 이주민의 선교적 의미」, 김지혜목사가 「이주민이 경험하는 실제적 고민과 지역교회의 적용 가능성」이란 제목으로 발제가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