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몸의 많은 지체
노영상
오늘 우리 사회를 진단하며 고린도전서 12장의 말씀을 숙고하려 한다. 우리는 이 12장을 보통 ‘은사장’으로 언급한다. 성령의 은사에 따라 교회의 일을 나누어 맡는 것을 언급하는 말씀이란 것이다(4-11절). 그러나 우리는 이 본문을 은사장의 범주를 고정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내용들을 놓치게 된다. 오히려 이 본문은 은사에 대한 언급이라기보다는, 하나의 교회론이나 이상적 사회론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고린도전서 12장은 기독교의 교회를 하나의 은유로써 설명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몸이라는 말은 보통 ‘유기체’를 뜻하는 것으로, 교회는 기계와 같은 조직체가 아니며 그 속에 생명을 담지하는 유기체라는 것이다. 시계와 같은 기계엔 생명이 없지만, 동물이나 인간의 몸엔 생명이 깃들여 있어 자체 증식이 가능하다. 이에 교회가 성령과 사랑의 능력 안에서 참 생명을 영위하게 된다면, 그런 교회는 자연적으로 성장하게 됨을 최근의 ‘자연적 교회 성장’ 이론은 말하고 있다.
기계의 부속품은 갈아낄 수 있지만, 몸의 기관들은 다른 것으로 대체될 수 없는 성격을 갖는다. 이에 고린도전서 12장의 말씀은 그러한 유기체로서의 몸의 특징들을 다음의 개념들로 언급한다. ‘상호의존’(21절), 고통과 기쁨을 함께 하는 공감 능력으로서의 ‘동거동락’(26절), 약자를 옹호하는 ‘약자보호’의 강조(23절) 등이다.
문제의 핵심은 그 속에 생명성이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인데, 이 같은 생명의 현상을 고린도전서 12장은 ‘한 몸의 많은 지체’라는 개념을 가지고 설명한다. 12장에 보면 한 몸의 많은 지체라는 말이 후렴과 같이 여러 번 반복되면서(12, 14, 20, 27절), 그 내용이 교회와 사회의 중심적 모습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여기서 한 몸의 많은 지체라는 말은 그간 ‘다양성 속의 일치,’ ‘다즉인 일즉다,’ ‘관계적 통전성’ 등의 말로서도 표명되었는바, 셋이면서 하나의 일체성을 갖는 모습이 생명현상의 주요한 내용임을 언급하는 말씀이라 볼 수 있다.
이런 ‘다양성 속의 일치’라는 생명의 참 모습을 우리에게 전달하는 기독교의 교리가 있는데 그것은 ‘삼위일체론’으로, 이 교리는 우리에게 복수의 것이 각 개성을 가지면서 하나로 연합될 수 있음을 드러내 주고 있다. 이에 우리 교회는 이런 삼위일체적 생명성을 인간생명과 유기체 교회의 기본 원리로 중시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의 몸은 작은 한 부분이라도 작동하지 않으면 전체적 균형과 생명성을 잃게 된다. 이에 모든 기관들이 자기의 역할을 잘해야 하는데, 이러한 모든 교인들이 다 일하는 교회의 모습이 그간 ‘셀교회’ 이론을 통해 논의되기도 하였다. 교회에 나오는 어느 누구도 일하지 않는 교인이 없도록, 모든 이에게 일을 맡기고 함께 섬기는 교회를 만들 때 교회는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 우리 사회를 보면 성경이 제시하는 생명을 담지한 유기체의 모습을 많이 상실하여 감을 보게 된다. 서로의 가치를 인정함이 없이 자기주장만을 하는 사회가 되어서는 행복한 사회가 될 수 없다.
약한 자를 용납하고 그들을 옹호하는 교회와 사회가 되지 못할 때, 우리의 삶은 무너질 수밖에 없는 것으로, 함께 행복한 교회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우리 모두가 되어야겠다. 요즈음 탄핵정국으로 민생 문제가 뒷전으로 밀리게 되었는데, 다시 정신을 가다듬어 어려운 사람들의 형편을 살피는 교회와 사회가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실천신대 총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