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7(금)

신앙과 직제협서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주간

그리스도인의 연합 도모, 일치와 화합을 추구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5.01.03 09:39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2-3.jpg

신앙과 직제협의회가 진행하는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주간이 네가 이것을 믿느냐란 주제로 진행된다 (사진은 지난해 일치주간 기도회 전경)

 

모든 그리스도인을 하나로 묶으는 신앙에 중점

니케아 공의회의 신앙신조로 공통신앙을 반추

 

신앙과 직제협의회가 진행하는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주간이 오는 18일부터 25일까지 네가 이것을 믿느냐란 주제로 진행된다

올해 일치주간의 자료집은 이탈리아 북부 보세 수도승 공동체가 준비했다. 성경본문은 요한복음 1117절에서 27절이다. 이번 기도주간에서는 니케아 공의회의 1700주년을 기념하면서 니케아 공의회의 신앙신조를 통해 공통의 신앙을 깊이 반추하고 축하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올해 일치주간은 이러한 니케아 신조의 핵심진술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하나님의 아버지 되심과 섭리 하나님의 창조 하나님의 성육신 예수님의 수난, 죽음, 부활 생명과 기쁨의 성령 믿음 공동체로서의 교회 주님의 죽음과 부활로 이루우진 세례 하나님나라와 오는 생명을 기다림이라는 기도제목으로 기도하게 된다. 이 제목들은 그리스도인의 연합을 도모하며, 각자의 삶 속에서 일치와 화합을 이루도록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니케아 공의회는 최초의 기독교 에큐메니컬 공의회라고 자료집의 작성자는 말하고 있다. 또한 이 기념일은 모든 그리스도인이 니케아 공의회에서 작성된 신조를 통해 표현된 공통의 신앙을 깊이 반추하고 축하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면서, “2025년 기도 주간은 이 공통의 유산을 되새기고, 그리스도인 모두를 하나로 묶는 신앙 속으로 더욱 깊이 들어갈 수 있는 초대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니케아 공의회는 콘스탄티누스 황제에 의해 소집됐다. 이 시기는 박해 속에서 숨어 지내던 교회가 공개적으로 드러나면서 서로 다른 문화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동일한 신앙을 공유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경험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믿음의 내용에 대한 합의는 서로를 자매 교회로 인정하며 각각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지역 공동체를 세우기 위한 공통의 기반을 정의하는 일이었다.

 

 니케아 신조는 우리는 믿습니다라는 1인칭 복수형으로 작성됐다. 이는 공동체적 소속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니케아 공의회에서는 부활절 날짜를 계산하는 방법을 정했지만, 이후 해석의 차이로 인해 동방교회와 서방교회가 부활절을 다른 날짜에 기념하는 일이 자주 발생했다. 하지만 올해는 동방과 서방교회는 부활절을 같은 날짜인 2025420일에 기념하게 됐다고 자료집의 작성자들은 말한다.

 

 자료집의 작성자들은 부활절의 의미는 17세기를 거쳐도 변하지 않았다.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 주간은 이 살아있는 유산을 새롭게 탐구하고 이를 현대의 다양한 문화적 맥락에 맞게 재해석하며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면서, “오늘날 사도적 신앙을 함께 살아간다는 것은 당시의 신학적 논쟁을 다시 여는 것이 아니라, 공의회의 결정으로 이끌었던 성경적 토대와 교회적 경험을 기도로 다시 읽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한편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주간 1908년 폴 왓슨신부가 교회일치기도주간을 준수할 것을 제안했고, 1930년 폴 쿠튀리에신부가 세계 그리스도인 일치기도주간으로 바꾼 것을 게기로 현재의 이름으로 자리잡았다. 한국에서는 1968년 대한성공회가 일치기도회를 시작하였으며, 그 이후부터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와 한국천주교주회의가 공동으로 준수했다. 지난 2014년부터는 한국 그리스도교 신앙과직제협의회가 이를 주관하고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 8448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신앙과 직제협서 그리스도인 일치 기도주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