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9-13(금)

그리스도교 신앙과 직제협서 일치포럼

신·구교 일치운동의 증진과 협력방안을 모색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5.28 08:2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1-1.JPG



한국 그리스도교 신앙과 직제협의회(공동의장=김종생목사·이용훈주교)는 지난 22일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포럼을 갖고, 신·구교 일치운동의 증진과 협력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포럼은 「창립 10주년,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의 살아있는 이야기」란 주제로 열었다.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열린 이번 포럼에선 일치운동의 미래를 함께 구상하고 창조하는 시간이 됐다.

 

 인사말을 전한 공동의장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총무 김종생목사는 “창립 10주년을 맞이해 어제를 돌아보면서 미래를 꿈꾸는 시간이 됐으면 한다. 우리는 지난 10년을 성찰하면서 앞으로의 10년과 100년을 보기 원한다”면서, “우리들이 하나가 되는 소중한 시간이 됐으면 한다. 이 자리에 함께하신 모든 분들을 축복한다”고 말했다. 

 

김종생목사 외에도 이용훈주교를 대신해 교회일치와 종교간대화 위원회 총무인 임민균신부가 인사말을 전했다.  또 교회일치운동에 함께한 이웃종교인 원불교 정인성교무와 장로회신학대학교 명예교수인 이형기목사가 축사를 전했다. 송용민신부의 사회로 진행된 포럼은 안교성교수(장신대)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의 주요 흐름: 다섯 시기를 중심으로」란 제목으로 기조발제했다.

 

또한 한국신앙과 직제협의회 전 공동사무국장인 양덕창선생이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의 회고」, 이 협의회 전 신학위원장 박태식신부가  「신학위원회의 과거와 미래」란 제목으로 발제 했다.  또 이 협의회 전 공동사무국장 김태현목사가 「<창립선언문>에서 보물찾기」라는 제목으로 발제했다. 

 

2-1.JPG

 

  이번 포럼에서는 일치운동에서 운동성과 기구화가 함께가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의 주요 흐름: 다섯 시기를 중심으로」란 제목으로 발제한 안교성목사는 "그리스도교 일치운동이 아니고,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이다. 현대 일치운동도 처음에는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이었다. 그러나 모든 운동은 운명적으로 정신으로 시작해서 조직으로 끝난다면서, “조직이 없다면 정신은 휘발해 버리지만 정신이 없다면 조직은 고착된다. 운동이 자기 개혁을 통해 기구화를 넘어서지 못하면 종말을 맞는다. 모든 운동이 운동성과 기구화의 양극 사이에서 진자운동을 해야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안목사는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의 흐름을 △대치기(1884~1945) △병존기(1945년~1962년) △대화기(1962~1970) △연대기(1970~1998) △일치기(1998~)로 나누었다. 안목사는 “대치기를 정리한다면 한국에 전래된 그리스도교는 비일치운동적 혹은 반일치운동적 그리스도교였고, 현지인은 이것을 학습했다. 즉 반일치운동이 전수됐다. 물론 현지인은 일치운동에 대해 자율적인 긍정적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면서, “병존기에는 근본주의적 배경을 지니고 반일치운동적 일치운동을 전개한 국제기독교연합회와 매킨타이어가 한국기독교연합회와 세계교회협의회를 반대하면서 한국 일치운동을 혼란스럽게 했다”고 말했다.

 

 또한 “대화기 시기인 1968년에는 그리스도인의 일치기도주간을 시작했다. 첫번째 그리스도인의 일치기도 주간행사는 대대적으로 진행됐다. 신구교 목회자가 8개 교회에서 강단을 바꿔 설교했다 ”면서, “연대기인 1970년대 이후에는 주로 봉사적 일치운동이 일어났다. 이 시기의 경우, 봉사는 사회적 차원을 넘어 정치적 차원의 것이었다. 이 시기에 신앙과 직제운동도 시작됐고 형제로서의 만남도 시작됐다”고 말했다.

 

 안목사는 ”21세기 초는 한국 일치운동의 중요한 전환기가 됐다. 특히 선교적 일치운동, 봉사적 일치운동에 이어서 신학적 일치운동이 본격화하고 있다. 그러나 신학적 일치운동은 여전히 진전이 늦은 분야이다“면서, ”그러나 이제는 기존의 일치운동을 변화시키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운동의 회고」란 제목으로 발제한 양덕창선생은 ”교회일치운동을 시작하면서 천주교와 개신교 실무자들은 한국교회에서 처음으로 시작하는 활동들인 만큼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다. 그래서 세계교회의 일치운동을 배우면서 신앙인으로서 기도하면서 소명감으로 활동했다“고 말했다.

 

 「신학위원회의 과거와 미래」라는 제목으로 발제한 박태식신부는 ”매번 신학위원회로 모일 때마다 교회일치를 위한 심도있는 토론이 이어졌고 신선한 아이디어들이 제안되었었으며, 이를 실행으로 옮겨왔다“면서, ”우리에게는 한국 그리스도교회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후대에 알려 주어야 할 의무가 있고 다음세대는 다시금 어리석은 일이 벌어지는 것을 막아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창립선언문>에서 보물찾기」라는 제목으로 발제한 김태현목사는 신앙과직제협의회 창립선언문에서 나타나는 △가깝게 사귀기 △함께 공부하기 △함께 행동하기 △함께 기도하기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또한 ”다양성은 창조의 은총이다. 다양성이 전제되지 않은 일치란 있을 수 없다. 특히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다양성을 전재로 해야만 한다. 이것은 일치운동의 전담기구인 한국신앙과직제협의회가 지켜야할 중요한 원칙이다“면서, ”우리는 왜 이런 일치운동을 이어가야 할까를 생각해야 한다. 그에 대한 이유가 창립선언문에 들어있다“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2988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그리스도교 신앙과 직제협서 일치포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