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은 과연 저주인가? 일과 노동의 본질에 관해 묻자면 먼저 이런 전제조건을 해결해야 한다. 사람은 어떤 존재인가? 사람은 왜 일을 하는가? 일하지 않고 살아갈 방법은 없는가? 절대적인 명제는 ‘사람은 창조(일)하는 존재’(homo creativus)라는 것이다. 하나님의 창조섭리 안에서 일(work)은 직업적 노동인(homo laborans)과 구별된다. 비관론자들은 아담과 하와의 죄행의 결과 에덴동산에서 추방당하고 가시덤불과 엉겅퀴로 뒤덮힌 척박한 땅을 개간하여 먹고 살아가게 된 것은 저주의 심판이라고 본다. 그리고 그 행위는 “흙으로 돌아갈 때까지 얼굴에 땀을 흘려야”(창 3:19a) 한다.
이러한 관점에 선 이들은 일은 인간에게 부여된 비극적 결과라 주장한다. 마치 죽기 전까지 일이라는 돌을 굴리며 산을 올라가야만 하는 비극의 주인공 시지프스처럼 말이다. 인간의 창조성 중 하나인 일이 점차 직업적 노동(labor)으로 바뀌었다. 자급자족 하던 시대가 지나고 각자의 일이 노동시장(labor market)이라는 상황에 나서게 된 것이다. 일의 주체자인 인간이 노동으로 상대적 평가를 받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고용과 피고용, 경영인과 노동자라는 상대적 계층이 생기고, 이 과정이 점차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라는 비인간적 차별로 사회 안에 이질화가 벌어졌던 것이다. 유물론자들은 이를 타파하고자 급진적 사회혁명을 부르짖는다. 여기에 이르면 노동은 사회적 비극을 낳는 주범처럼 보여진다. 왜냐하면 노동으로 인간소외가 생겼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현상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일이 왜곡된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이 극복하지 못한 죄행의 결과 본래적 일이 방향을 잘못 잡았다는 것이다. 원래 사람은 일이라는 창조적 행위를 통하여 자아실현, 자기성취를 이루어가는 과정이며, 이를 일컬어 삶(Life)이라 부른다.
삶은 인간적 창조행위이다. 그리하여 삶은 곧 일이고, 일이 곧 삶이다. 종교개혁자들은 일을 성례의 수준으로까지 받아들이고, 일이 예배에 버금간다고 주장했다. 거룩한 행위로서의 노동은 성례에 참여하는 거룩한 순간인 것이다. 그런데 일이 상대화 되고, 외적 요인에 의해 판단받다 보니, 노동으로서의 일은 그만 그 본래적 의미를 잃어버리게 되었다. 현대는 누가 이 노동을 장악하느냐가 우선이 되니 노동 현장의 비극은 끝나지 않고 있다. 인간의 비인간화(dehumanization)는 하루 속히 극복되어야 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제 비극이 더 심화되기 전에 물화(物化)된 노동에서 본래적 일의 의미로 회복되어야 한다. 창조적 인간의 행위로서 일을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이나 AI의 본격적 등장으로 노동시장에 엄청난 변혁이 일고 있다.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시대에 들어서서 잉여노동은 어디로 갈 것인가? 로봇이 사람의 위상을 위협하는 시대가 점점 다가오는 가운데 일의 본래적 의미를 찾아 인간의 인간다움을 실현하도록 해야 한다. ‘일터의 신학’이 시급한 이유이다. 일의 기본적 정의(righteousness)는 이렇다.
“네가 네 손이 수고한 대로 먹을 것이라 네가 복되고 형통하리로다”(시 128:2). 현대와 같이 노동자들이 무한경쟁, 각자 도생하게 하는 원시성, 야만성에서 벗어나야 한다. 노동이 창조적 삶을 이루어가는 숭고한 행위임을 다시 깨달을 때이다. 그러할 때 하나님 형상으로서 인간의 고귀한 위상을 회복하게 될 것이다. 삶은 기도와 일로 완성되어진다.
/전 안양대 교수·이레문화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