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공공신학이란 무엇인가 - 2
신앙은 사회서 인정받을 수 있는 윤리성 가져야
최경환 박사
공공신학, 보편성과 합리성을 중요한 특징으로
공공신학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은 그 개념 규정의 모호성만큼이나 다양하다. 공공신학의 목적, 신학적 근거 혹은 ‘공공성’에 대한 의미 규정에 이르기까지 단일한 목소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공신학이 무엇인지를 정의하는 것 자체가 공공신학에 대한 담론 투쟁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이자, 그 내용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공공신학을 정의하고 규정하는 방식 자체가 신학적 공론장에서 하나의 의미 있는 신학 활동이면서 동시에 실천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 있다.
역사적으로 ‘공공신학’이라는 말은 마틴 마티(신학자)가 라인홀드 니버(기독윤리학자)의 사상을 연구한 과정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마티는 이 논문에서 니버가 이후에 전개된 모든 공공신학을 위한 하나의 패러다임을 제공했다고 말한다. 이 용어는 다시 데이비드 트레이시(신학자)에 의해서 차용되었는데, 트레이시가 밝히고자 한 것은 공적인 삶 속에서 신학이 단순히 윤리적인 이슈들에만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신학 자체가 어떤 의미에서 학문으로서의 본질을 지니고 있는지 근본적으로 질문한 것이다. 다시 말해 ‘신학이 공적인 담론 속에서 허용될 수 있는지’를 물은 것이다.
특별히 트레이시가 제시한 신학의 공적 영역은 ‘교회, 학문, 사회’로 요약된다. 모든 신학은 이 세 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담론을 제공해야 하고, 이들의 관심사를 포괄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신학의 공공성은 특정한 전통이나 도덕성이 아닌 비판적인 기준을 갖춘 보편성을 통해 구성되어야 한다. 스택하우스(공공신학자) 역시 신앙은 철학이나 타종교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을 정도의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진정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말하면서, 기독교 신앙이 비판적인 검증을 통해 보편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진정한 신적 현실은 반드시 보편적 현실이어야 하고, 신학자는 이 현실을 간문화적인 연구를 통해 적절하게 설명해야 한다. 이렇게 될 때 신학은 윤리, 법, 사회의 각 영역에서 모든 이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신학은 보편성과 합리성을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 삼는다. 공공신학은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고 수긍할 수 있는 보편적 형식을 가져야 하고, 이는 공론장의 비판적 대화를 통해 형성되어야 한다. 자연스럽게 기독교의 진리가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접근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변증적 성격을 취한다.
반면, 공공신학을 보편성과 합리성, 세속화, 그리고 민주주의라는 맥락에서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시도와 달리, 신앙과 공적인 삶의 관계를 갈등과 투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도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학자들은 보편성에 근거한 공공신학을 비판하면서, 자신들의 신학이 처한 구체적인 상황과 저항 담론에 집중한다. 이들은 공공신학이 사용되고 있는 맥락과 상황을 강조함으로 시공간을 초월해서 모든 상황에 적용되는 신학의 초월성을 비판한다.
따라서 이들은 보편적인 공공신학이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존 드그루치(신학자)는 남아공의 공공신학이 북미의 공공신학과 다른 점은 고통받고 주변화된 사람들의 목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이들을 돕기 위한 신학을 전개하는 것, 그리고 공적 영역의 변혁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신학박사,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 공동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