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5(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4.01.03 11:3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주재훈 목사.png
길목교회 주재훈 목사

 본문은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목적을 잘 설명해 주기도 하며, 왜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다른 이들에게 전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분명하게 가르쳐 주고 있다. 

 이 땅의 모든 사람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괜찮은 척, 잘 살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어느 누구 하나 참 만족함이 없이 살고 있다. 인간은 그 어떤 것으로도 절대 만족할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진정으로 복음이 필요하다.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은혜를 경험할 때 우리는 세상이 줄 수 없는 참된 평안을 누리게 된다. 

 한 해를 마무리 하는 마지막 주일 나는 과연 예수 그리스도 한 분 만으로 만족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시금 점검하고, 돌아보며 새롭게 출발하기를 다짐하는 시간이 되길 축원한다.


첫째:쉬게 하리라(28)

 한 해를 마무리 하면서 참 감사해야 하는 이유의 첫 번째는 예수님 때문에 일상의 모든 짐을 내려놓고 쉴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인생의 무거운 짐을 지고 사는 우리들을 향해 예수님은 “수고하고 무거운 짐 진 자들아 다 내게로 오라”(28a)라고 초청하신다. 

 예수님에게는 하나도 유익이 되지도 않고, 오히려 와서 투덜거리고 문제만 해결해 달라고 조를 것이 너무나도 뻔하지만 그래도 오라고 하신다. 

 사람이 힘들고 어려울 때 정말 찾아갈 곳이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성공한 인생이다. 그런 의미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우리 모두는 현재의 상황과는 상관없이 이미 성공한 인생이다. 

 언제 정말 평안히 쉬어 본 적이 있는가? 예수 그리스도 앞에 나아가는 것 이외에 다른 어떤 것도 참 쉬게 할 수 없음을 명심하며, 무거운 짐을 가지고 주님 앞에 나아가야 함을 잊지 않고, 새해를 맞이하며 아직도 지고 있는 짐을 주님 앞에 내려놓는 시간이 되길 축원한다. 


둘째:쉼을 얻으리라(29)

 한 해를 마무리 하면서 참 감사해야 하는 이유의 두 번째는 예수님 때문에 마음의 깊은 곳에서부터 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29a)라고 말씀하신다. 정말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다른 어떤 것이 아니라 주님의 마음을 배워야 한다. 그런데 그 배우는 방식이 ‘멍에를 매는’ 방식임에 집중해야 한다. 

 멍에를 멘 다는 것은 나의 의지나 노력이 아니라 나를 이끌어 가는 존재에 전적으로 순종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의 마음이 정말 세상의 어떤 풍파에도 흔들리지 않고 평안하게 유지되고 싶다면 멍에를 매야 하는데 그 멍에가 바로 ‘온유와 겸손’이다. 

 우리의 마음에 온유와 겸손이 없기에 참 쉼이 없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세상적인 상황들이 나의 멍에가 되어 나를 조정하고 이끌어가는 상황에 살고 있다면 예수 그리스도의 멍에로 바꾸어 메고 참 마음의 쉼을 향해 달려가기를 바란다.


셋째:쉽고 가벼움이라(30)

 한 해를 마무리 하면서 참 감사해야 하는 이유의 세 번째는 예수님이 함께 하시기에 모든 어려움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멍에를 지는 것 자체가 굴레이며, 자유를 억압하는 것처럼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예수님은 그 멍에가 결코 어렵고, 무거운 것이 아니라고 분명하게 말씀하신다. 왜냐하면 그 멍에를 주님이 함께 메어 주시기 때문이다. 

 당시의 멍에는 우리나라와는 달라서 소나 말 한 마리에 메지 않았다. 최소한 두 마리를 함께 지게 하였다. 따라서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본문의 의미는 자신의 멍에를 벗어서 자신을 믿고 따르는 이들에게 넘겨주는 것이 아니라 이미 세상의 무거운 멍에를 지고 있는 이들 곁에서 그 멍에를 함께 지시겠다는 약속인 것이다. 

 주님이 그 멍에를 함께 지워 주시기 때문에 똑같은 일을 해도 힘이 들지 않고, 길을 잃어버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 세상의 어느 누구도 나의 짐을 함께 이처럼 완벽하게 함께 메어 줄 존재는 없다는 사실에 감사해야 한다. 


 “무리를 보시고 불쌍히 여기시니 이는 그들이 목자 없는 양과 같이 고생하며 기진함이라”(마9:36)는 말씀은 예수님이 이 땅에 오셔서 자신에게 나오는 이들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셨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완악하고, 언제나 자기 멋대로 살기를 좋아하지만 그래도 주님은 우리를 너무나도 사랑하셔서 긍휼의 눈빛으로 지켜보신다. 그 사랑의 마음이 지난 한 해도 우리를 향하고 계셨기에 지금 내가 이렇게 살아가고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탕자가 자신이 겪은 인생의 가장 고통스러운 순간에 떠올린 것이 바로 두 팔 벌려 안아 주시는 아버지였음을 기억하며, 내 삶에 언제나 변함없이 팔 벌리고 그 넓은 품을 열어 주시는 주님에게 달려가 안기며 감사함으로 마무리 하는 한 해가 되길 축원한다.   

전체댓글 0

  • 6555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참 감사해야 하는 이유 (마11:28~30)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