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왕기상하를 보면 많은 왕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으며, 그들에 대한 소개와 어떤 모습으로 나라를 이끌었는지를 기록해 놓고 있다.
한 나라의 왕으로 세워지는 순간에는 자신이 통치하는 나라가 번영하고, 모두가 행복한 나라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는 차이가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북이스라엘이 망하고, 남유다도 멸망으로 향하여 달려가는 모습을 보면서 사람에게 기준을 두고,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사람 앞에 서려고 하는 모든 노력들은 아무 의미가 없는 것을 깨닫게 된다.
꼭 왕이나 중요한 책임을 맡은 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하나님의 자녀로 사는 모두가 명심해야 할 것은 하나님 앞에서 바로 서 있는 자세로 사는 것이다. 그렇다면 하나님 앞에 바로 서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본문의 말씀을 통해서 어떻게 하면 하나님 앞에 서는 자가 될 것인지를 깨닫고 결단하기를 바란다.
첫째:말씀이 기준(21)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자가 되기 위한 첫 번째는 모든 선택의 기준이 하나님의 말씀이 되어야 한다. 요시야가 “여호와 보시기이 정직히 행할 수”(왕하22:2) 있었던 것은 하나님의 말씀이 그의 삶에 있었기 때문이다.
왕하 22장을 보면 요시야 왕은 성전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감추어져 있었던 율법책을 발견하게 되고, 요시야는 그 말씀을 듣고 자신의 옷을 찢으며 회개하였을 뿐 아니라(왕하22:11), 백성들에게도 들려지게 하여 백성들도 그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 언약을 따르게 결단하게 한다(왕하23:3).
하나님의 말씀이 내 삶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너무나도 분명하고, 그 말씀이 기준이 되어 살 때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인생이 된다는 것도 잘 알고 있지만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듣기 좋은 소리, 혹은 잔소리가 될 뿐이다.
요시야는 성전에서 율법책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즉각적으로 이것이 자신에게 은혜를 주시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라는 사실을 알아차리고 말씀 앞에 서는 자가 되었다. 말씀이 기준이 되어야 하나님 앞에 서는 삶을 살 수 있음을 명심하며 살아야 한다.
둘째:최선의 노력(22)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자가 되기 위한 두 번째는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삶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사사가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시대부터 이스라엘 여러 왕의 시대와 유다 여러 왕의 시대에 이렇게 유월절을 지킨 일이 없었더니”(22절)라고 기록하고 있다.
유월절의 기적을 체험한 이들이 광야에서 첫 번째 유월절을 보낼 때 그들의 마음과 자세는 어떠했을까?
가나안 땅에 정착해서 드려지는 첫 번째 유월절은 또 얼마나 감동적이었을까?
다윗과 솔로몬의 시대에 그 부강했던 국력을 바탕으로 온 백성들이 감사의 마음으로 드렸던 유월절은 얼마나 화려하고 기품이 있었을까?
하지만 하나님은 나라의 국운이 기울어져 가는 요시야 시대의 백성들이 지켰던 유월절을 그 어느 시대의 유월절보다 기쁜 마음으로 받으셨다.
우리는 항상 부족함 때문에 할 수 없는 것에 집중하며 살고 있다. 하지만 하나님은 오로지 얼마나 최선으로 자신 앞에 나아오는지에 관심을 가지실 뿐이다.
오늘 얼마나 최선을 다해 하나님 앞에 머물며 믿음으로 살고 있는지 점검해 보아야 한다.
셋째:인격적인 만남(23)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자가 되기 위한 세 번째는 누구의 권면이나 외부적인 영향 때문이 아니라 내가 하나님과 인격적인 만남이 있어야 한다.
하나님의 말씀에 은혜를 받고 유월절을 전심으로 지키는 요시야 왕을 성경은 “여호와 앞에”(23절)서 유월절을 지켰다고 기록하고 있다. 요시야가 왕에 오르고 열여덟째 해가 되었을 때에 그 이전에도 없었던 온전한 유월절을 지켰다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22절).
그의 나이 26세의 젊은 나이에 하나님 앞에 바로서는 참된 믿음의 사람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이 기뻐하실만한 믿음의 삶은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은 절대 아니다.
요시야가 할아버지, 아버지의 악한 영향력 아래에서 허덕이는 삶을 살고, 그 길을 쫓아 살았다면 그는 망해가는 나라의 그저 그런 왕에 불과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하나님이 이전에 한 번도 볼 없었던 유월절을 통해서 자신의 믿음을 온전히 하나님께 보여 드리고 있다. 환경이나 조건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 앞에서 사는 삶을 살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나의 모습을 돌아보게 된다. 하나님 앞에서 살려고 애를 쓰고 있는지, 아니면 어떻게 해서라도 눈에 띄지 않으려고 노력하는지, 아니면 하나님 앞에 있으면서도 전혀 신경조차 쓰지 않으며 어리석게 살고 있는지 말이다.
바울은 하나님 앞에 서는 자가 되기 위한 권면으로 “하나님의 전신갑주를 취하라 이는 악한 날에 너희가 능히 대적하고 모든 일을 행한 후에 서기 위함이라”(엡6:13)고 분명하게 말씀하고 있다.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삶은 자신감이나 교만함이 아니라 그 은혜를 향한 삶을 인생의 가치로 여기는 자만이 누릴 수 있는 축복이다. 하나님 앞에 서 있는 자가 누리는 기쁨과 은혜로 충만한 시간들이 되길 축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