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1(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3.06 09:1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주재훈 목사.png
길목교회 주재훈 목사

 본문은 다윗이 유다 광야에 있을 때라는 부제목을 달고 있다. 

 우리의 예상과는 달리 시편 63편은 사울왕에게 쫓기며 광야에 머물던 시절이 아니라 아들 압살롬의 반역 때문에 도망쳐야 했던 시기(삼하15장~16장)에 기록되었다. 

 다윗의 마음이 얼마나 참담했을까? 

 머리를 풀어 헤치고, 맨발로, 재를 뒤집어 쓰고 예루살렘을 나오면서 쫓아오며 돌을 던지며 저주하는 시므이의 소리를 들을 때 다윗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내 삶의 가장 소중하다고 느끼는 것들을 뒤로 하고, 막막한 광야에 머물 때 정말 자신이 의지하고 붙들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 깨닫게 된다. 

 그러기에 광야는 저주나 심판의 자리가 아니라 영적으로 잠들었던 내가 깨어나는 자리이며, 정신없이 살면서 가장 소중하게 여겨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놓치고 살았던 것들을 다시 발견하는 은혜의 자리이며, 믿음이 다시 세워지는 회복의 자리가 되어야 한다. 


첫째:예배하는 자리(1~4)

 광야의 삶이라 할지라도 소중하게 여겨야할 것의 첫 번째는 예배하는 자리이다. 하나님을 찾고 간구하는 자는 그가 머무는 곳이 바로 ‘성소’이자 하나님의 임재를 체험하는 곳이 된다. 

 다윗은 ‘내가 간절히 주를 찾되 물이 없어 마르고 황폐한 땅에서 내 영혼이 주를 갈망하며 내 육체가 주를 앙모하나이다’(1절)라고 고백하고 있다. 그는 광야에 있지만 ‘성소에서 주를 바라보았나이다’(2절)라고 고백한다. 

 다윗에게 성소는 하나님의 임재가 머무는 곳이었다. 다윗이 압살롬을 피해서 도망칠 때 사독과 그와 함께 한 레위 사람들이 여호와의 궤를 메고 다윗과 함께 가려고 하였지만 그들에게 “하나님의 궤를 성읍으로 도로 메어 가라 만일 내가 여호와 앞에서 은혜를 입으면 도로 나를 인도하사 내게 그 궤와 그 계신 데를 보이시리라”(삼하15:25)고 만류하며 돌려보냈다. 

 하나님의 궤는 없지만, 그 광야에 머물며 성소에서 내가 하나님을 찬양한다고 고백하는 다윗의 모습은 상황이나 환경에 얽매이지 않고 하나님께 예배하는 자리를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나의 삶의 가장 소중한 것이 되어야 함을 잘 가르쳐 주고 있다. 


둘째:일상의 터전(5~7)

 광야의 삶이라 할지라도 소중하게 여겨야할 것의 두 번째는 일상의 모든 순간이 하나님으로 인해 만족하며 사는 것이다.   척박한 광야의 삶, 자신이 살던 왕궁과는 비교할 수 없는 열악한 환경들은 스스로를 무기력하게 만들 수 있다. 

 하지만 다윗은 그 광야의 삶에서도 하나님이 자기의 도움이 되시는 것 하나만으로 즐거워한다고 고백하고 있다. 그런 다윗은 자신이 맞닥뜨리고 있는 현실 곳에서 감사의 고백들이 끊이지 않고 있음을 보게 된다. 

 “골수와 기름진 것을 먹음과 같이”(5절) 만족하며 살고 있으며, 왕궁의 침대와는 비교할 수 없지만 “나의 침상에서 주를 기억하며 새벽에 주의 말씀을 작은 소리로 읊조릴 때”(6절)의 기쁨을 고백하고 있다. 불평과 원망으로 밤을 세우고, 주변에 사람들에게 가시돋힌 말들을 쏟아 내면서 지금 나의 처한 현실에서는 그렇게 사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 여기며 살지 말자. 

 다윗은 광야의 일상에서 오히려 하나님과 더 가까워지게 됨을 감사하며 살고 있다. 비록 광야라 할지라도 하나님이 나와 함께하시며 동행하시는 곳이라는 사실을 기억하기에 주의 날개 그늘 아래서 기쁘게 찬송하는 은혜의 자리에 머물기를 바란다. 


셋째:하나님의 곁(8~11)

 광야의 삶이라 할지라도 소중하게 여겨야할 것의 세 번째는 하나님의 곁을 떠나지 않음으로 그 손길을 경험하며 사는 것이다. 

 “나의 영혼이 주를 가까이 따르니 주의 오른손이 나를 붙으시거니와”(8절)에서 보듯이 나를 대적하는 이들과, 나를 걸려 넘어지게 하는 모든 문제들은 바로 내가 하나님을 가까이 따를 때, 그 곁에 붙어 있을 때 해결된다. 그런 결단으로 광야를 지나갈 때 ‘주의 오른손’이 붙들어 주실 뿐 아니라 모든 대적들을 물리쳐 주시게 된다. 

 이사야 선지자는 “너희는 여호와를 만날 만한 때에 찾으라 가까이 계실 때에 그를 부르라 악인은 그의 길을, 불의한 자는 그의 생각을 버리고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그리하면 그가 긍휼히 여기시리라 우리 하나님께로 돌아오라 그가 너그럽게 용서하시리라”(사55:6~7)고 분명하게 선포하고 있다. 

 하나님께 한 발 더 다가설 것인지, 세상을 향해 한 발 나아갈 것인지 분명히 결정하며 살아야 한다. 

 믿음의 사람들에게는 그래서 광야가 축복의 장소이며,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가는 은혜의 장소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내 삶의 소중한 것들은 사실 누리고, 곁에 있을 때는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그것이 사라지고 나면 깨닫는 경우가 많다. 

 형 에서가 받아야 할 축복을 속여서 받고 삼촌 라반의 집으로 도망치던 야곱은 광야에서 돌을 베개 삼아 누워 잠들었다가 하나님이 보여 주신 환상을 보고 그 곳의 이름을 벧엘이라 부른다(창28:18). 

 아무도 없다고 느끼던 곳이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경험하는 곳이 되었다. 모든 것을 다 잃고 이제 빈털터리라고 여기던 곳이, 세상 그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는 하나님을 만나는 은혜의 장소로 변하게 되었다.
 나의 삶에 가장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된다. 

 솔로몬의 고백처럼 다 헛되고 헛된 것들을 붙잡고 놓치지 않으려는 어리석은 자가 아니라 내 삶의 가장 소중한 것은 하나님 한 분임을 고백하며 살기를 축원한다.  

전체댓글 0

  • 25344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내 삶의 소중한 것들 (시63:1~11)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