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4-19(금)

사람을 중시하는 공동체 회복 추구

안양석수교회, 노인돌봄서 지역목회 출발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3.02.16 15:0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안양석수교회 전경사진.jpg
안양석수교회 모습

 

 


 

150여개의 목장에서 양육과 훈련, 봉사를 자체적으로 진행

 

시대위기 맞은 목회, 초심 돌아가 사람중심 공동체회복 제시

 

 

김찬곤목사2-1저용량.JPG

 

김찬곤목사(사진). 그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 산하 교회갱신협의회의 이사장이다. 그의 교갱협관련 이력은 화려하다. 4~5대 상임총무, 5대 상임대표, 4대 이사장... 그는 교갱협의 대표 얼굴이다. 이 때문에 김목사에 대한 이미지와 평가는 주로 교갱협 관련한 것이다. 기자는 이런 김목사의 속살 중의 속살인 그의 목회를 찾아보았다. 교갱협이 교회를 갱신한다는 목적으로 설립됐는데, 그 거창한 명분을 가진 대표의 교회와 목회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편견이 있을 수도 있는 대담한 탐방 요청에 김목사가 응했다.

 

지역 목회로 봉사에 주력

김목사는 고신대학교 출신이다. 뜻밖(?)의 출신이었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측의 주요단체 대표가 고신출신인 경우는 드물기 때문이다. 총신에서 고신 출신은 대하기 힘든 존재이다. 원칙성으로는 고신을 따라갈 수가 없기 때문이다. 고신측 총회의 긍지는 총신을 넘어서고 합동측 총회 이상이다. 신사참배 거부자들이 만든 교단이니 그 긍지는 한국교회에서 가장 높을 것이다.

그런데 김찬곤목사는 신학교 시절부터 남다른 생각을 했다고 한다. 김목사는 신학교 시절부터 지역에 눈을 떴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한국교회가 교회의 거룩성과 세상과의 구별을 가르치던 시기에 김목사는 아래로 내려가는 신앙과 지역 현장에 구체화되는 목회를 꿈꾼 것이다. 그는 부교역자 생활 21년을 거쳐 올해로 안양석수교회에 부임한지 29년을 맞는다.

6.25한국전쟁 이후 천막교회로 출발한 안양시 석수동지역의 안양석수교회. 부임 후 김목사는 지역 조사로 목회를 시작했다. 안양천 주변의 노인 거주지 이자 독거노인과 소년소녀가장이 많은 가난한 지역이지만 부임이전의 교회는 지역과는 담을 쌓은 근본주의적 교회였다. 이런 교회 부임한 김목사의 지역 접촉의 첫 통로는 도시락이었다. 지역의 노인들에게 도시락과 반찬을 교회에서 만들어 제공하면서 지역과의 소통이 시작됐다. 그 후에는 도시락 제공에서 발전해 아예 경로식당을 열었다. 교회 식당을 개방해 일주일에 나흘부터 시작해 지금은 주일까지 포함하면 매일 식사를 제공한다. 처음에는 푸드뱅크와 함께 했지만 교회 자체가 모두 맡게됐고, 이제는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것과 교회의 봉사가 합해져 경로식당을 운영한다. IMF 이후에는 식당에 오는 노숙자문제, 싸움과 냄새 등 일화는 차고도 넘친다고 김목사는 회고했다.

지금 김목사의 지역목회는 경로식당에 그치지 않는다. 경로대학, 침술사역, 아이들의 독서문화공간인 꿈 트리, 지역 장애인의 배움시간인 밀알화요모임, 정신지체 장애 아동 대상의 사랑부, 재난 발생시 봉사하는 긴급재난봉사단 등 다양한 분야로 총체적인 지역목회로 발전했다.

 

현재는 셀교회로 전환중

김찬곤목사의 교회는 셀교회로 전환중이다. 150여개의 목장이 양육과 훈련, 봉사를 자체적으로 진행한다. 양육은 새가족 등록 이후 4단계를 거친 양육훈련시스템으로 훈련한 후 파송한다. 아울러 김목사의 목회는 선교 목회이다. 안양석수교회는 7가정을 직접 파송하고 60여 곳을 선교후원하며, 지역과 기관선교 후원은 100여곳이 넘는다. 그는 예장 합동측 GMS 이사장도 거친 베테랑 선교맨이다.

김목사의 목회 비전은 석수비전선언문에 모두 담겨있다. 전문은 이렇다. “우리는 하나님을 예배하고 경험하여(예배), 그리스도를 닮아(훈련), 한 몸이 되어(교제), 민족과 열방을 예수께로 인도하는(선교), 섬김과 나눔(사역)의 행복 공동체이다.” 김찬곤목사의 목회 결과는 부임시 4백명 정도 모이는 중형교회에서 15백명이 모이는 중대형교회로 발전시켰다. 이런 목회의 모든 결과에 대해 은혜라고 김목사는 고백한다. 하나님의 은혜 만이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신앙고백인 것이다.

 

개교회에서 한국교회 목회로

김목사의 목회 영역은 개교회로 그치지 않는다. 은혜를 받은 목회로 개인적 보람과 의미에 그치려했다면 그는 교갱협의 대표가 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개교회 목회 영역이 끝나는 지점에서 그는 공동체라는 새로운 과제를 만나게 된 것이다.

현재 한국교회는 코로나 팬데믹이 마무리되면서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그동안 감춰지거나 베일에 쌓인 한국교회의 허점이 코로나 시기를 거치면서 표면화 됐고, 코로나가 마무리되면서 한국교회를 덥치고 있다. 이런 때에 많은 목회자들은 교갱협을 주목하게 됐고, 그 대표인 김목사를 바라보게 된 것이다.

김목사는 현재의 한국교회 위기를 정화과정이라고 평가한다. 교회의 쇠퇴, 출석감소, 불투명한 미래, 다음세대의 축소 등 현재 나오는 현상은 하나님의 섭리의 과정이라는 큰 틀에서 보아야 한다는 인식이다. 김목사는 이스라엘은 포로 시대를 겪으며 새로워졌다는 평가를 한다. 고통과 고난을 견디고 이겨낼 의지가 교회의 목회자에게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목사는 코로나를 지나며 선교현장이 새로워졌다고 고백하는 선교사가 많다고 말한다. 그동안 선교는 건물, 센터, 프로젝트 등 외적인 것으로 진행됐는데, 코로나 시기 쫓겨나면서 선교의 초심을 회복하게 됐다는 것이다. 즉 사람을 재발견했다는 이야기다. 개교회도 소그룹모임은 살아남았지 대그룹모임만이 죽었다는 것이다. “사람을 중심으로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데 목회와 선교의 핵심을 되찾아야 한다는 말을 김목사는 특히 강조한다.

 

시대변화 속에서 사람목회를 제시

목회는 사람을 어떻게 세우는가가 중요하다는 것이 김목사 생각의 핵심이다. 사람 한 명 한 명을 어떻게 키우는가, 사람을 키우는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목회가 본질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다. 김목사는 본질적으로 고민을 하고 생각을 바꾸자. 개교회주의가 왜곡돼 내 교회 주의가 되고 자기교회 중심의 교회성장의 늪에서 나와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사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회로 변화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목사의 주장과 제언의 핵심이 바로 이 지점이다.

김목사는 여기서 특히 목회자의 자기 관리와 성찰을 중요시한다. 목사인 목회자가 자기를 회복하고, 관리하고, 돌보는 동지, , 공동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큰 교회의 목회자일수록 외롭고 고독한 것이 현실이다고 김목사는 지적한다. 목회자가 자기를 돌보는 그룹이 없다면 남을 돌볼 수 없고, 교인과 교회를 옳게 이끌 수 없다는 것이 김목사의 제언이다. 그러므로 한국교회의 목회자는 이런 그룹을 반드시 형성하고 그 속에 있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김목사는 이런 그룹을 갖고 있고 수십년동안 관계를 이어온다고 털어놨다. 그러면서 다른 목회자들에게 이런 그룹을 반드시 가져야 한다고 제안한다.

교갱협의 대표적 인물인 김목사에게 현 시대 속에서 한국교회 목회의 길에 대해 질문했다. 한참을 고민한 후 김목사는 사람을 이야기 했다. 초대교회도 바울 같은 사람이 있었기에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었다고 말한다. 사도들과 바울, 그의 제자들로 이어지면서 복음은 생명력을 이어갈 수 있었으며 위기는 일시적이었지만, 결국은 극복할 수 있었다고 성경의 실예를 강조했다.

시대의 위기에 처한 한국교회의 목회자들에게 김목사는 개교회주의가 왜곡된 이기적 내 교회주의를 극복하고 사람을 중요시하는 공동체목회를 제시했다. 초대교회 지도자들 처럼 개별적으로 사역한 것이 아니라 공동적으로 논의하고 활동할 때 한국교회의 목회적 위기를 극복할 수 있지 않겠느냐는 제안인 것이다. 김목사는 사람이 중요하고 목사가 중요하고, 그 목사가 개인적인 것이 아니라 공동체적으로 관리하고 활동하는 데서 한국교회가 위기를 극복하고 부흥시대의 목회를 다시 할 수 있지 않겠는가라며 비관도 낙관도 없이 제시하고 있다. 김목사의 실천적 제안을 사람목회라고 하면 지나친 개념일까

태그

전체댓글 0

  • 5300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사람을 중시하는 공동체 회복 추구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