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9.15 23:21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사진-문우일박사.jpg

문우일

비블로스성경인문학연구소 연구원, 아현성결교회 협동목사

 

1. 시작하며

 

이 글은 예수께서 가르쳐주신 뿌리는 자 비유”(4:3-8)를 노만 하벨(Norman Habel)의 생태 관점에 따라 다시 읽은 것이다. 최근 지구가 직면한 심각한 생태 위기는, 인류가 사고방식과 생활방식을 생태 중심으로 서둘러 전환하지 않으면, 수십 년 사이에 종말을 맞이하리라고 경고한다. 생태 위기의 징후들은 꾸준히 있었으나, 최근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하여 인류가 거의 매일 생태 위기를 체감할 수 있는 지경에 이르렀다. 또한 2015년 파리 기후협약은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보다 1.5도 상승하여 인류가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의 길에 들어서는 시점을 2050년에서 2040년으로 앞당겼다. 이는 지금 당장 인류가 생태 행동을 결단하고 실천해도 생태계를 회생시키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포기할 사안도 아니다. 왜냐하면 생태 위기는 인류와 지구의 생사가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서구 기독교의 인간 중심 세계관과 반지성주의가 자연을 지배 대상으로 격하하여 생태 위기를 부추겼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움직임이 기독교 일각에서 일어났다. 성서학계에서도, 성서 자체는 반-생태적이 아닌데 성서 주석방법론에 문제가 있었다면서, 성서를 생태 관점에서 다시 읽고 다시 주석하자는 시도가 잇따랐다. 이에 부응하여, ‘비블로스성경인문학연구소<성서, 생태 위기에 답하다>(한국학술정보, 2022)를 출간했고, 필자도 참여했다(2부 제4).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하여 여기에 필자의 글을 요약하여 소개한다.

 

2. 생태 원칙과 반-생태적 이원론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하벨은 다음의 여섯 가지 생태 정의 원칙들’(Ecojustice Principles)을 제안했다(2016). 내적 가치(Intrinsic Worth), 상호연결(Inter-connectedness)의 원칙, 목소리(Voice)의 원칙, 목적(Purpose)의 원칙, 상호 관리직(Mutual Custodianship)의 원칙, 저항(Resistance)의 원칙.

이를 요약하자면, 인간뿐 아니라 자연과 그 구성원은 저마다 타고난 내적 가치와 창조된 목적이 있다. 그 가치는 상호 대등하게 연결될 때 발휘되어 결실하고, 주종관계로 연결될 때 저항하고 파괴된다. 따라서 인간과 자연과 구성원은 그 가치를 보전하고 목적을 담보하기 위하여, 서로 대등하게 보살피며 관리해야 하며, 그런 관계가 위협을 받을 때 목소리를 내어 항거하고 극복해야 한다. 서구 이원론은 그러한 생태 원칙에 가장 위협적인 요소들 중 하나다. 예컨대, 발 플럼우드(Val Plumwood, 1993)는 문화/자연, 인간/자연, 문명/야만, 자유/필연, 주체/객체 등의 이원론이 생태를 위협한다고 보았다. 이런 관점에서 마가복음의 뿌리는 자의 비유를 읽어보자.

 

3. 뿌리는 자 비유의 생태적 함의

 

들으라, 보라! 뿌리는 자가 뿌리러 나갔다. 4그가 뿌리게 되었을 때, 어떤 것은 길가에 떨어졌고, 새들이 와서 그것을 삼켰다. 5그리고 다른 것은 흙이 많지 않은 돌밭에 떨어졌고, 흙이 깊지 않으므로 곧장 싹텄다. 6그리고 해가 솟았을 때 그것은 태워져 뿌리가 없으므로 메말랐다. 7그리고 다른 것은 가시들 속에 떨어졌고, 가시들이 자라 그것을 질식시켰고, 그것은 열매를 내지 못하였다. 8그리고 다른 것들은 좋은 땅에 떨어져 자라 무성해졌을 때 열매를 내기 시작했고, 삼십 배와 육십 배와 백배로 결실하기 시작했다. (4:3-8)

 

이 비유는 뿌리는 자가 누구인지 확정하지 않으므로 독자는 다양하게 상상할 수 있다. 뿌리는 자는 하나님이나 예수님일 수도 있고, 농부나 선생 같은 평범한 인간일 수도 있으나, 동식물 등 생태 요소를 포함한 자연일 수도 있다.

비유 자체는 무엇을 뿌렸는지 밝히지 않으나, 비유의 알레고리 해석 부분은 뿌린 것을 로고스라고 설명한다(4:14; 13:19; 8:1). 그리스-로마 및 헬라화된 유대 전통에서 로고스는 매우 풍부한 의미를 함축한다. 예컨대, 플라톤에서 데미우르고스는 세계혼을 우주에 뿌렸는데, 그 혼을 로고스라고 부르기도 한다. 또한 스토아학파에서 신은 이 세상에 퍼진 씨앗들 내지 정자들과 같은데, 그것을 로고이 스페르마티코이라고 한다. 이런 언어는 유대인 사상가 필론(Philo of Alexandria)에게 매우 익숙했다. 이런 체계에서 로고스는 뿌리는 자이기도 하고 뿌리는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비유는 뿌리는 주체와 뿌려진 객체를 대립적으로 나누지 않으며, 뿌려진 각 객체를 품질에 따라 차별하지도 않는다. 또한 새, , 가시 등이 수확을 방해하는 악역을 담당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자연스러운 역할에 충실할 뿐, 돌발적인 악행을 저지르지 않는다. 그것들이 출몰한 길가, 돌밭, 가시밭도 비난받을 장소가 아니라 좋은 땅만큼이나 자연스럽다. 게다가 좋은 땅이라고 해서 새와 해와 가시가 없을 것 같지도 않다. 좋은 땅에도 그런 저항 요소가 있겠으나, 더는 수확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자연의 필수구성원으로서 자기 역할에 충실할 것이 암시된다.

 

4. 마치며

 

마가복음의 뿌리는 자 비유는 주체, 객체, 환경을 차별하지 않는 이상적인 생태구조를 선보인다. 하늘이 땅에 군림하거나 인간이 자연을 지배할 여지를 주지 않는다. 결실한 열매들은 다시 뿌려질 것이므로, 시작과 끝이 단절되지 않고 무한히 순환하고 확장할 것이 예상된다.

이 비유는 좋은 땅의 조건을 장황하게 설명하지 않으나, 좋은 땅에서는 각 구성원이 이기심과 지배욕을 버리고 온전한 열매를 맺을 때까지 참고 기다려야 함을 암시한다. 뿌려진 것이 싹트고, 뿌리내리고, 위로 자라고, 몸집이 커지다가 마침내 결실할 때까지, 구성원은 상당한 시간 동안 인내해야 한다. 열매를 빨리 맛보려고 서두르는 인위적이고 개별적인 일탈은 언뜻 생산량을 늘리는 문명 활동처럼 보이지만, 실은 자연 생산성에 크게 미치지 못할뿐더러 수확 자체를 근절할 수 있다고 뿌리는 자의 비유는 경고한다.

겉보기에 밋밋하고 보잘것없는 한 톨의 씨앗 속에 자연은 1대에 3060100배의 결실을, 2대에 9003,600, 10,000배의 결실을, 3대에 810,000, 12,960,000, 100,000,000배의 결실을 숨겨놓았다. 자연 생태계가 창조 질서에 따라 유지되는 한, 자연은 보잘것없는 것 속에 숨어 있다가 반복하여 현현하며 놀라운 결실을 이어갈 것이다.

 

- 프로젝트: 기후 위기 시대의 기독교 ; 생태신학 녹색교회 생명목회를 위하여

- 공동주최: 기독인문학연구원-이음사회문화연구원 · 기독교환경교육센터 살림 · 에이치투그룹 주식회사

 

 

- 후원 및 연대기관: )천일식품 · 한국교회생명신학포럼 · 비블로스성경인문학연구소

태그

전체댓글 0

  • 83962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프로젝트: 기후위기시대의 기독교 18] 뿌리는 자 비유(막 4:3-8)의 생태적 함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