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9.02 11:52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3-지형은.PNG

 

기독교 교회가 유럽에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가면서 중요한 변화를 겪었다. 교회는 아메리카로 건너가기 전에 1,300여 년 동안 유럽의 종교였다. 유럽의 문화와 삶 전체가 당연히 기독교적이었다. 교회가 사회 제도와 삶의 모든 면에 촘촘하게 엮여 있었다. 특히 황제나 왕 또는 제후가 주도하는 정치 제도와 교회의 교권 구조는 뗄 수 없이 연결돼 있었다. 유럽이란 세계에서 기독교 신앙은 공적인 것이었다.

 

아메리카로 건너가면서 기독교 신앙은 구조로 보면 사회적인 제도와 공적인 틀에서 벗어나 사적인 것이 되었다. 17세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된 계몽주의의 흐름이 이런 상황에 큰 역할을 했다. 신앙이란 것은 인간의 자유와 인격적인 존엄성에 근거한 개인의 선택 사항이 됐다. 아메리카 대륙에 세워져 이후의 세계사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미국이란 나라는 계몽주의 사상의 정치 이념에 따라 정교분리의 토대 위에 세워졌다. 흔히 말하는 청교도 신앙의 목표는 정교분리의 사회가 아니라 성경이 곧 국가의 법이 되는 사회였다.

 

한국교회는 미국식 교회구조를 기본 틀로 갖고 있다. 신앙을 사적인 것으로 보는 것 말이다. 기독교 신앙이 사회 및 역사 흐름과 떨어질 수 없다는 자의식이 약한 것이 그래서다. 미국 교회는 그 신앙 구조가 사적이긴 해도 미국이란 국가 건립 때부터 사회제도와 기독교가 늘 서로 소통하고 조율했다. 교회와 국가가 분리된 구조이지만 나름으로 교회가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는 틀이 있다. 유럽교회는 긴 역사 유산의 영향으로 구체적인 교회제도와 신앙의 틀이 아직 상당 부분 공적이다. 유럽의 기독교가 사회적 공공선과 연관된 자의식이 강한 이유이다.

 

그럼 한국교회는 어떤가? 기독교 신앙이 없던 문화권에 기독교가 들어와 정착했다. 기본 구조가 미국식이다. 신앙 의식과 구조가 사적이다. 교세가 성장하면서 교회의 사회적 역할이 늘어나기는 했지만 기본 틀이 사적인 방식에 머물러 있다. 감독제 정치 형태를 가진 일부를 빼면 한국교회의 교단들은 거의 모두 개교회주의 방식으로 사역한다. 이것이 개별 교회를 성장하게 한 동인이기도 했지만 현재는 아주 심각하게 부정적인 요소로 작동하고 있다. 대형 교회의 세습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장로교 총회들이 열리는 계절이다. 한국교회의 주도적 집단인 장로교 교단들의 총회가 중요하다. 여기에서 공적으로 논의하고 결정하는 사안들이 한국교회의 전반적인 분위기에 영향을 끼친다. 사회가 교회를 보는 시각도 많은 부분 여기에 걸려 있다. 위에서 살핀 유럽식과 미국식 기독교의 비교에서 보면 한국교회의 약점이 쉽게 보인다. 사회적 공공선을 위한 책임 의식이 약한 것이다.

 

이번 총회들에서 사회와 세계 역사 흐름의 공적인 책무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기를 바란다. 얼른 생각해도 대여섯 가지를 꼽을 수 있다. 기후 위기와 코로나19 관련 사안, 정치, 경제, 외교 등 다방면에 걸쳐 드러난 윤석열정부의 심각한 문제점들, 남북 분단과 동아시아의 상황 등이다. 교회 내적인 일이야 당연히 심도 있게 다뤄야 한다. 코로나 이후의 목회 상황 변화에 대처하며 새로운 목회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 대형 교회의 세습을 막고 교회의 제도와 치리가 바람직하게 작동하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교회의 갱신이다. 성경 말씀으로 돌아가 교회다움을 회복하는 일에 기독교의 존립이 걸려 있음을 깨닫고 절절한 심정으로 말씀을 묵상하며 변화되도록 공적인 계기가 마련돼야 한다. 요한복음 17장의 가르침에 따라 교회가 사회와 역사 흐름의 책무를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장로교 총회를 위해 기도하며 그 사역을 응원한다./기성 증경총회장·성락성결교회 담임목사

태그

전체댓글 0

  • 4263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장로교 총회에 바란다 「포기하지 말아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