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5.12 08:4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임영천.png


김말봉 작가의 <망명녀>(1932)란 작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김말봉의 이 작품은 단편소설이다. 그러나 규모 면에서나 내용 면에서 중편소설다운 데가 보이며, 어떤 이는 이 작품을 가리켜 장편과 같은 구조를 보여준 소설이라고 말한 바도 있다. 먼저 대중소설가 또는 통속작가로 불린, 여성 소설가 김말봉(1901-61)에 대하여 어느 정도 소개하는 일이 필요할 것 같다. 그만큼 그는 그의 경력 면에서도 독자들에게 상당히 흥미 있는 데가 있는 인물로 보이기 때문이다. 물론 그의 작품 세계와 관련된 일이기도 하고….

 

소설가 김말봉은 경남 밀양이 고향이며, 네 살 때 부모의 손에 이끌려 부산으로 와서 염주동에서 자랐다. 호주장로교 선교회가 세운 부산 일신여학교(현 동래여고)에서 3년간 공부하다가 서울의 정신여학교로 전학을 갔는데, 그 두 학교 모두 기독교계 학교였다. 그는 스물한 살 때 일본으로 유학의 길을 떠났다. 1923년 그곳 도시샤(同志社) 대학의 영문과에 입학한 후, 학업을 마치고 얼마의 기간을 보낸 뒤 1929년 귀국하였다. 그런데 그 대학 역시 일본 개신교 3대 교파 중의 하나인 조합교회 소속의 기독교계 학교였다.

 

일본 교토(京都)의 도시샤(同志社) 대학에서 공부하던 때 시인 정지용·윤동주 등과 거기서 만날 수 있었던 것은 그녀에겐 좋은 인연이었다고 보겠다. 재학 중이었던 때, 상급생 김말봉이 방학 때 집에 돌아와 있던 하급생 정지용을 만나기 위해 지용의 고향인 충북 옥천(꾀골)을 찾았다고 하는 기록이 있다. 또한 1926년 여름에 김말봉이 정지용 시인과 함께 ‘조선지광’이란 월간 잡지사에 들렀다고 하는 기록도 보인다. 그녀의 다정다감하면서도 매우 활동적인 면이 엿보이는 장면들이다.

 

1929년 귀국한 뒤 김말봉은 수주 변영로 시인의 지원에 의해 ‘중외일보’ 신문사의 기자로 활동하게 되었다. 이때 그는 단편소설 <고행>을 써서 이 신문의 신춘문예 현상모집에 응모해 당선되었다. 그래서 이 작품이 그의 사실상의 데뷔작이 된다고 보겠지만, 그는 자기가 근무하는 신문에다 응모하고 당선된 것이 아무래도 께름칙했던지, <고행>이 당선된 지 보름 만에 그 신문사에 사직원을 내고 고향인 부산으로 귀향해 버렸다. 그리고는 1932년 ‘조선중앙일보’ 신문의 신춘문예 현상모집에 다른 작품으로 응모하여 당선되었는데, 이 작품이 바로 <망명녀>였다.

 

그리고는 그 여세를 몰아 1935년 ‘동아일보’에 첫 장편소설 <밀림>을 연재하기 시작하였다. 한운사 작가에 의하면 이 연재소설 발표는 역시 수주 변영로 시인의 주선에 의한 결과라고 한다. 그러나 그 당시를 회고한 정비석 작가의 기억으론 그 신문사 편집국장 설의식과 학예부장 서항석의 주선으로 이 <밀림>이 연재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고 보면, 아마도 3인이 회동해 이 연재 결정을 내리고, 그 윤곽을 수주 변영로가 부산의 김말봉에게 서신으로 연락해 주지 않았나 싶다. 어떻든 이 작품의 연재로 김말봉이 인기 작가로 저널리즘 스타가 되었다고 정비석은 쓰고 있다. 1937년에는 또 ‘조선일보’에 <찔레꽃>을 연재하기 시작했다. 이는 전작 <밀림>보다 훨씬 더한 인기를 얻으며 독자 대중의 환영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 <밀림>을 서울의 일간신문에 연재할 당시(1935), 그는 부산의 동구 좌천동 주민이었다. 그날그날 신문의 삽화가 필요했으므로 그는 당시 부산고녀 4년생이던 한무숙에게 그 일을 맡겼고, 그 일이 계기가 되어 화가를 꿈꾸던 한무숙이 후에 소설가가 되었으며, 또한 동생 한말숙마저 소설가가 되는 다소 기이한 일이 벌어졌던 것이다.

 /조선대 명예교수·문학평론가


태그

전체댓글 0

  • 9860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기독정신과 사회사상의 변증법적 통합(1)-김말봉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