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궁극적 관심을 지향하는 삶(3)-황순원의

임영천의 한국 기독교소설 산책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2.04.13 10:1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임영천.png

 

<움직이는 성>에서의 다른 인물 함준태는 송민구와는 달리 기독교를 자신의 출세 목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인물은 아니다. 그러나 중·고교 학생 시절 모범적인 기독교도였던 그는 후에 그 교회를 떠나버린다. 교회에 대하여 여러 가지로 비판적이었던 그는 결국 그 교회를 박차고 세속사회로 나와 버렸다. 그는 이 소설 속에서 마치 이반 카라마조프의 역을 맡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준태는 <삼대> 속의 병화와도 상당히 유사한 데가 있다. 그러나 현재는 스스로 무신론자임을 자처하는 준태에게도 역시 구원의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되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시사(示唆)하는 점이 이 소설의 한 특징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준태가, 실질적인 무신론자라기보다는 오히려 명목상의 무신론자라고 할 이반과 많이 닮았다고 보는 것이다.

 

그러나 다소의 약점 같은 것을 지니고 있는 속에서도 그는 그래도 신뢰할 만한 데가 있는 인물로 보인다. 자신의 일에 충실하고 과욕을 부릴 줄 모르는 그는 친구가 산간벽지로 전근을 가야만 하게 되었을 때, 오히려 자청하여 저 자신이 친구 대신 벽지로 자리를 옮기고 말았다. 이러한 그의 희생적인 삶의 자세는 불가불 민구의 실리적인 생활 태도와 비교되지 않을 수 없다.

 

기독교도라고 하면서도 철저하게 실리만을 추구하며 살아가는 송민구에 비하여 교회를 박차고 떠나버린 함준태의 이웃사랑의 삶이 크게 대조되기 때문이다. 기독교의 본질이 ‘사랑’ 즉 ‘이웃사랑’이라고 할 때 민구의 이기적인 삶과 준태의 이타적인 삶이 서로 대조될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여기서 우리는 ‘교회 안’에서도 진정한 사랑이 소멸되는 수가 있으며, 반대로 ‘교회 밖’에서도 그 사랑이 회복되는 수가 있음을 보게 된다.

 

전번의 아내 창애와 헤어진 뒤, 새 여인 남지연이 끈질기게 준태를 따라다니지만, 그는 그녀에게 약간의 끌림을 당하면서도 결코 거기에 빠지지는 않는다. 아마도 그가 이렇게 매사에 자신이 없고 결단력이 없어 보이는 것은 그의 지병인 천식 때문인 성싶기도 하다. 그의 이 원인 모를 병은 그가 유랑의 생활이 아닌 ‘정착에의 기대’를 갖는 순간 그에게 다가오곤 했었던 것 같다. 그가 이 사실을 자각했었는지는 잘 모르지만, 그는 후에 강원도의 오지로부터 전북의 어느 오지로 자신의 거처를 옮겨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물론 그의 거처를 지연에게는 전혀 알리지도 않은 채로 말이다. 그는 그곳에서 끝내 운명하고 마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그가 마음속으로 얼마간은 사모하고 있었던 지연과의 상봉을 다시는 이루지도 못한 채로였다.

 

이러한 준태의 상 역시 유랑인의 상 그것이 아닐 수 없다. 작가 자신은 기독교 세계 이외의 유랑인의 대표적 인물로 함준태를 설정한 것임에 틀림없다. 그는 기독교인이기를 스스로 거부한 만큼 또 무교 신앙의 소유자도 아니었으면서, 그가 마지막에 만난 여인이 바로 무당인 돌이엄마였다는 사실은 매우 아이러니컬하다. 그러나 유랑성을 떨쳐버리지 못한 ‘기독교도 송민구’가 샤머니즘의 세계와 연결되어 있었다고 한다면, 역시 유랑인의 대표적 인물이 바로 함준태라고 할 때 그가 어떤 식으로든 샤머니즘의 세계와 관련되리라는 것은 어렵지 않게 예상되는 바라고 하겠다.

 

그러나 그의 운명(죽음)은 그 무당 여인이 자기(준태)를 버리고 달아나버린 뒤에야 찾아왔었다는 데에서 그가 궁극적으로는 무속세계와 동류일 수가 없음이 증거 되기는 한 셈이다. 이 점에서 같은 유랑성의 경우라고 하더라도 민구의 그것과 준태의 그것이 동질일 수는 없다 하겠다. 

/조선대 명예교수·문학평론가 

태그

전체댓글 0

  • 3731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궁극적 관심을 지향하는 삶(3)-황순원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