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27(일)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06.22 16:0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9-이수경 원장.jpg

◇ 오랜 세월 장애인들과 동행한 이수경원장

 

장애인들에게 절실히 필요한 것은 안정적 일자리 제공

“일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장애인들 큰 자부심 가져” 


9-1이수경제품.jpg

◇ 샛별재활원에서 생산하는 제품들


경기도 성남시 상대원에는 많은 일터가 밀집해 있다. 그 가운데 조금 남다른 일터가 한 곳이 있는데 바로 이수경 권사가 운영하는 샛별재활원이다.

 

샛별재활원은 2004년 설립된 이후 발달장애인들의 노동의 터전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 중심에 18년간 원장을 맡아 애쓴 이수경 원장이 있다.

 

내년 사회복지 시설장 65세 정년을 앞둔 이원장은 아직 할 일이 많은데 정년을 앞두고 있어 아쉬움도 있지만 지금까지 이 샛별재활원을 후회 없이 운영해왔다고 말하면서 어렵고 힘들 때마다 주님께 기도하며 어려운 고비를 잘 넘겼다고 말했다.

 

샛별재활원은 발달장애인, 정신장애인, 청각장애인 30명이 함께 근무하고 있으며, 항상 좋은 생산품을 만들기 위해 날마다 더욱 노력하고 있다.

 

이원장은 이 재활원을 운영하기 전 발달장애인 거주시설에서 18년간 근무했는데 거주시설에서 일을 하면서 ‘발달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처럼 남들처럼 노동을 하며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일거리를 주고 독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줘야 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이 재활원을 만들게 되었다고 한다.

 

평소 장애인을 사랑하고 뭔가 이들에게 해 줄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생각하면서 장애인들이 일을 하고, 일한 만큼의 보상을 받으며 사회구성원으로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주자는 것이 이원장의 목표다.

 

이원장은 이 재활원을 기독교정신으로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예배는 한 달에 한 번, 매월 1일에 드린다. 이원장이 출석하고 있는 교회의 목사님이 인도하는 이 예배시간은 한 달에 한 번 있는 짧은 시간이지만 함께 하는 장애인들의 믿음이 조금씩 스며들고 있다고 한다.

 

예배 때 함께 일하는 장애인들에게 기도를 부탁할 때 그들이 믿음을 가지고 기도하는 모습을 보며 일터 안에서의 복음전파의 힘을 느낀다고 말한다.

 

내년에 물러나는 이원장의 최대 고민이자 마지막 숙제는 장애인들의 부모님들이 돌아가신 이후 사회에서 정년을 맞은 장애인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다. 실제로 비장애인들과 마찬가지로 장애인 노동자들도 50세가 넘어가면 신체적 노동력이 감소하는데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고 있다고 한다. 사실 정년에 다다른 재가장애인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과 관심이 부족한 상황에서 가족들만의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는 상황이다. 형제자매들이 있다 하더라도 각자 살아가기 바쁜 환경이기에 나이가 들어갈수록 장애인들의 생활은 경제적, 정서적으로 매우 어려워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원장은 미래를 바라보며 향후 대안으로 비어있는 건물 하나에 작업장과 휴식공간, 거주공간을 겸비한 곳을 만들어보려 구상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여러 사정으로 못한 것을 아쉬워하면서 현재로서 차선책으로 택한 방안이 협동조합을 구성하는 방법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재가장애인들의 정년 이후의 삶을 도우는 것이 정년을 앞두고 마지막으로 해야 할 목표라고 말한다.

 

샛별재활원은 현재 정부기관에서 발주하는 물품들을 생산하고 있으며 재단 홈페이와 홈쇼핑 홈페이지를 운영하면서 문구류와 생활물품 중심의 제품생산과 판매를 하고 있다.


태그

전체댓글 0

  • 18316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샛별재활원 이수경원장, 발달장애인과 일하며 사랑실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