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0-11(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05.12 14:50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스크린샷 2021-05-12 오후 2.50.52.png

 

『역사의 연구』라는 명저를 저술한 세계적 역사학자인 아놀드 토인비(Arnold Joseph Toynbee, 1889~1975)가 6.25전쟁 직후에 우리나라를 방문했다. 3대가 어우러져 사는 한국의 효(孝)사상과 가족제도를 관찰하고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한다. “비록 한국이 지금은 전란으로 폐허가 되었지만, 이 나라는 머지않아 선진국가로 도약할 것이다.

 

효행이라는 아름다운 미덕을 지녔기 때문이다. 장차 한국이 인류에 기여할 것이 있다면 그것을 바로 가족제도와 효사상일 것이다. 만약 지구가 멸망하고 인류가 새로운 별로 이주해야 한다면 지구에서 꼭 가지고 가야할 제일의 문화는 한국의 효문화이다.” 

 

그로부터 세월이 반세기 이상이 흘렀다. 2019년 현재의 상황을 살펴볼 때, 우리 사회에 과연 효행(孝行)이 존재하는가? 그리고 우리나라가 가진 5천년 역사의 찬란한 정신 유산인 경천애인(敬天愛人)과 홍익인간(弘益人間) 사상에 기초한 효사상에 대해 얼마나 많은 국민이 자부심을 갖고 있는가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의문부호가 찍힐 수밖에 없다. 

 

심심치 않게 신문 지면에는 생활고와 가족부양의 부담 때문에 존속살인까지 벌어지는 데에야 더 이상 할 말이 없게 된다.

우리 사회가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루는 과정 속에서 각박해진 인심과 메마른 인성으로 인해 사회의 기초가 흔들리는 위기감을 느끼고 국회에서는 지난 2014년 인성교육진흥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교육부가 인성교육종합계획을 5년마다 짜야하고, 교육청이 매년 인성교육시행계획을 추진해야 하며, 일선 교사들은 매년 4시간 이상의 인성교육 연수를 받을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교육을 통해 인성을 함양하려는 취지는 긍정적이고 희망적이다. 

 

그러나 보다 본질적인 문제해결 방향은 우리 국민이 가지고 있는 뿌리의식을 되살리는 데 있다고 본다. 부족하지만 나는 1995년부터 “효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고 외쳐왔다. 1998년 인천에 성산효대학원대학교를 설립했고, 같은 해 한국효학회를 창립하여 2003년부터 공청회와 방송토론 등을 거쳐 2007년 7월 2일 ‘효행 장려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결실을 맺었다. 


이 법률을 근거로 하여 한국효문화진흥원, 하모니효인성교육원 등이 세워졌다. 이 같은 나의 열정은 ‘효’는 성경에 있는 것이고(딤전5:4) 성경은 하나님 아버지에 대한 효자로 길러내는 ‘효경’이어야 한다는 확신에서 비롯되었다.  

 

효운동을 하면서 어려웠던 점 중의 하나는 일부 여성과 젊은이들이 ‘효’에 대해 좋지 않은 선입견과 오해를 갖고 있는 부분이었다. 과거 왕조 시대에 체제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로 효를 이용해왔기 때문이다. 군주제의 효는 일방적이고 불평등하며 가족이기주의를 바탕으로 할 뿐 아니라 여성과 어린이의 권익이 철저히 소외되고 박탈되었었다. 

 

이처럼 ‘효’라는 단어가 상당수 사람들의 의식 속에 부정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한 효문화를 중흥시키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성경을 다시 읽었고 시편 133편에서 ‘하모니’라는 단어를 발견했다. 개역한글에는 ‘연합’으로 번역되었지만 NLT 영어성경에는 시편 133편에  ‘harmony’라는 단어가 세 번이나 나온다. 하나님께서 가장 기뻐하시는 것은 ‘하모니’이다. 사람과 하나님,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하모니해야 하는 데 그 출발은 젊은 세대와 노인 세대의 하모니운동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효를 영어로 ‘Harmony of Young and Old’의 줄임말인 ‘HYO’라고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HYO의 효는 과거의 효와 달리 자유로운 개인, 민주적 절차, 쌍방적, 관계적이며 평등한 인간관계, 이타주의와 애경(愛敬)을 바탕으로 하는 성경적 효이며 대한민국의 건국사상인 경천애인과 홍익인간을 구현하는 현대적 효이다. 그러므로 ‘효(孝)’를 넘어 ‘HYO’이어야 한다.

/성산효대학원대학교총장·인천순복음교회 원로목사  


태그

전체댓글 0

  • 3869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효’를 넘어 ‘HYO’이어야 한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