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10-11(금)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21.04.22 09:04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스크린샷 2021-04-22 오전 9.08.15.png

 

나는 “그리스도인이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최소한 다음 네 가지 사실을 포함하여야 한다고 본다. 첫째로, 영적인 측면에서 그는 거듭남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접붙여진 사람이다. 둘째로, 정신적인 측면에서 그는 회심을 통하여 하나님과 세계와 인간에 대한 새로운 사상적 관점을 받아들인 사람이다. 그런 점에서 그는 지성에 벼락을 맞은 사람이다. 셋째로, 성향적인 측면에서 그는 자기사랑에서 돌이켜 하나님을 사랑하도록 변화된 성향을 마음에 부여받은 사람이다. 비록 잔존하는 죄성과 여전히 갈등하지만 말이다. 넷째로, 생활적인 측면이다. 그는 믿음과 순종으로 언약 생활에 죽도록 헌신하며 살아가는 사람이다. 이는 그리스도인이 종말론적 소망 안에서 세상에서의 노동과 문화변혁에 헌신하며 살도록 부름받았음을 뜻하는 것이다. 오늘날 세상 사람들은 교회를 무시하고 그리스도인들을 비난한다. 그래서 교회는 어떻게 하면 세상 사람들이 교회에 대해 갖고 있는 나쁜 인상을 바꿀 수 있을지 고민한다. 그러나 그 고민 끝에 나온 교회의 노력들은 비리로 얼룩진 기업이 경영의 위기를 타개해 보려는 대처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오늘날 교회가 하는 일도 이와 비슷하지 않은가? 물론 나는 세상의 비난을 참착해서 자신을 개선하려는 교회의 노력들에 대해 모두 잘못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바로 기독교 신앙의 본질로 돌아가는 것이다. 우리는 어디에서 길을 잃었는지를 성경에 물어야 한다. “어디서 떨어졌는지를 생각하고 회개하여 처음 행위를 가지라”(계 2:5).

 

성경은 그리스도인을 “택하신 족속”이라고 부른다(벧전 2:9). 초대교회를 생각해 보자. 물론 그 시대가 모든 것에 있어서 완벽한 표준을 제공해 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교회의 역사에 위대한 각성이 일어날 때마다 초대교회의 신앙은 표준으로 회자되었다. 13세기 가톨릭의 개혁운동의 시대가 그러했고, 16세기 종교개혁의 때도 그러하였다. 오늘날 우리 시대는 기독교가 보편화 되어 있던 종교개혁 시대보다는 이방문화에 에워싸였던 초대교회 시대와 흡사하지 않는가? 우리는 스스로에게 묻지 않을 수 없다. “도대체 오늘날 우리가 예수를 믿는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해야 하는가?”

 

사도 요한의 제자 폴리캅은 로마가 기독교를 핍박하던 시기에 교회를 보살폈던 인물로, 소위 속사도 교부라고 불리는 사람들 중 하나이다. 그의 이야기를 다룬 〈폴리캅의 순교〉라는 책에는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이방인들의 평가가 다음과 같이 기술되어 있다. “그들은 하나님을 사랑하고 경외하는 족속들이다.”

 

테르툴리아누스의 〈이방인들에게〉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의 〈스트로마타〉라는 글에도 당시 그리스도인들을 소개하는 대목이 나오는데, 그들은 모두 그리스도인들을 ‘제3의 족속’이라고 불렀다(6.5.41). 이는 당시 그리스도인들이 유대인이나 이방인들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방식의 삶을 사는 족속이었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로마 사람들이 당시 그리스도인에게서 받은 독특한 인상이었다. 이는 오늘날 세상이 그리스도인들에게서 받는 인상과 얼마나 다른가. 도대체 무엇인가. 그들에게 있는 무엇인가가 우리에게는 없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현대교회의 선각자인 프란시스 쉐퍼(F. Schaeffer)가 당시 미국교회의 복음주의에 대해 외친 것은 오늘날 조국교회에서도 사실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기독교는 이름만 복음주의일 뿐, 맛 잃은 소금이며 빛 잃은 등불이다.”

 

초대교회의 그리스도인들에게는 분명히 존재의 울림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당시 그리스도인이 된다는 것은 곧 그리스도인으로 죽는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그것은 비기독교인의 그것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삶의 방식이 던져주는 울림이었다. 아우구스티누스(A. Augustinus)는 〈보편교회 교인의 생활방식과 마니교인의 생활방식〉에서 그리스도인에게는 그들만의 독특한 삶의 방식이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한 변화된 삶의 방식 뒤에는 하나님께 대한 회개와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이 있었다(행 20:21).

 /열린교회 목사, 총신대 신학과 교수


태그

전체댓글 0

  • 9840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온 몸으로 진리를 살아내는 ‘존재의 울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