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교계종합 검색결과
-
-
기감 서울연회, 스크랜턴선교사 동판제막식
- ◇기감 서울연회는 미국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연회와 함께 스크랜턴선교사 동판제막식을 진행했다.(사진은 정희수감독을 비롯한 오하이오연회 관계자들) 기독교대한감리회 서울연회(감독=김상복목사)는 지난 23일 양화진선교사묘역에서 윌리엄 스크랜턴선교사 동판제막식을 가졌다. 참석자들은 의료봉사와 교육사업에 앞장선 스크랜턴선교사의 사역을 기념했다. 이번 제막식은 스크랜턴선교사를 파송한 미국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연회와 함께했다. 또 스크랜턴선교사가 설립한. 아현교회, 상동교회, 동대문교회의 관계자들도 함께했다. 윌리엄 스크랜턴선교사는 의료봉사와 교육사업으로 한국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어머니 메리 스크랜턴선교사와 함께 이화학당을 설립했다. 예배 참석자들이 함께 사진을 찍고 있다 제막식에 앞서 총무 이경재목사의 사회로 드려진 예배는 상동교회 이성조목사의 기도 등의 순서 후 서울연회 감독 김성복목사가 「사명의 길」이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이후 동대문교회 서 철목사가 기념사를 전했다. 축사를 전한 오하이오연회 감독 정희수목사는 “스크랜턴선교사는 교회사에서 항상 불려야 하는 이름이다. 그런데 오늘 이러한 제막식을 진행해 감사하다”면서, “오하이오에 있는 우리도 이 일을 많은 이들에게 전하겠다. 과거에 열정적으로 선교에 임했던 우리교회가 다시 깨어서 세계선교의 더 열정적인 도구로 삼고자 하는 각오를 함께하겠다”고 했다. 아현교회 김형래목사는 “그동안 한국교회와 사회에 스크랜턴선교사의 삶이 잘 알려지지 못했다. 작은 동판이지만 선교사님의 정신이 잘 알려지길 원한다. 그리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시간이 되길 원한다”고 말했다. 예배는 정희수목사의 축도로 마쳤다.
-
- 교계종합
- 교단
-
기감 서울연회, 스크랜턴선교사 동판제막식
-
-
기감 서울연회, 스크랜턴 기념 동판 제막식
- 기독교대한감리회 서울연회(감독=김성복목사·사진)는 오는 23일 윌리엄 스크랜턴 기념동판 제막식을 양화진 외국인선교사 묘지에서 진행한다. 이 행사는 스크랜턴이 한국 근대화에 기여한 업적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다. 관계자들은 선교사들의 정신을 계승하기로 다짐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미국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연회 대표단이 역사적 장소를 순례하고 기념동판을 세우는 의미 있는 자리로 마련된다. 오하이오연회는 스크랜턴선교사를 파송했던 곳이다. 미국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연회 대표단은 오는 23일 한국에 도착하여 상동, 아현, 동대문 등 스크랜턴이 개척한 주요 역사적 장소를 방문할 예정이다. 이화여대 학생들과의 교류를 통해 스크랜턴의 정신을 계승하고, 양국 간 교계의 협력을 강화하는 기회를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방문에 맞춰 아현, 상동, 동대문 교회와 함께 양화진에서 스크랜턴 기념동판 제막식이 진행된다. 이번 기념식은 스크랜턴이 조선에 입국한 지 140년이 되는 해를 맞아 진행된다. 1885년 5월 한국에 도착한 스크랜턴은 의료 봉사와 교육 사업을 통해 한국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어머니와 함께 설립한 이화학당은 현재의 이화여자대학교로 성장하며, 한국 여성 교육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스크랜턴의 헌신은 교육뿐만 아니라 소외 계층을 위한 의료 지원과 사회적 활동으로도 이어졌다. 서울연회 관계자는 “스크랜턴의 기념동판 제막식은 단순한 기념행사를 넘어 한국과 미국 간의 역사적 유대와 협력의 상징이며, 교계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여는 중요한 행사로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면서, “이 행사를 통해 스크랜턴의 정신이 더욱 널리 알려지고, 그의 업적이 후세에 전해지기를 기대한다. 스크랜턴이 남긴 발자취는 단순한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와 미래를 잇는 중요한 가교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140년 전 동아시아의 작은 나라에서 새로움을 개척했던 인물의 노력으로 오늘날의 발전이 있었다’는 서울연회 김성복감독의 말처럼, 스크랜턴의 기념 동판 제막식은 그가 남긴 유산을 기리며 앞으로 나아갈 길을 함께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
- 교계종합
- 교단
-
기감 서울연회, 스크랜턴 기념 동판 제막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