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문화/여성Home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기감 여선교회 총회 및 이·취임식
◇기감 여선교회전국연합회는 제55회 총회를 개회하고, 전국연합회 신임 임원들을 선출했다.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회장=이정숙장로)는 지난 23일 여선교회관 9층에서 제55회 총회를 열어 임원을 선출하고, 이취임식을 가졌다. 이날 여선교회원들은 선교사명과 비전을 재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연합회는 새 회기의 주제로 「그대, 선교의 딸! 이땅에 생명·평화 이루자」를 발표했다. 이날 이·취임식은 전국연합회 이윤정총무의 사회로 열린 가운데, 이정숙회장은 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공로장을 전달했다. 이임하는 임원들은 이임사를 전했고, 전국연합회 임원들은 선서식을 가졌다. 특별히 황은경사모는 축가로 「주의 은혜라」를 불렀다.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임원들은 선서식을 가졌다. 새 임원은 △회계=최경숙권사 △부회계=김구비권사 △부서기=이현영권사 △교육부장=최미영권사 △사회사업부장=한영숙권사 △청소녀지도부장=유순예권사 △문화부장=조혜숙권사 △감사=박금희·김은주권사이다.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이정숙회장은 “여성들의 인권과 평등한 삶을 위해 뜨거운 열정으로 사역 하기를 멈추지 않았던 선배들. 여선교회의 수 많은 헌신자, 사명자들이 한 마음, 한 뜻으로 신앙의 바통을 주고 받으며 이어온 오늘이다”며, “올 한해도 여선교회를 사랑하고 자긍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전국의 많은 여선교회원들이 복음을 들고 여선교회의 전국, 연회, 지방, 개체교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감리교회를 지키고, 세우고, 빛냈다”고 격려했다. ◇이임 임원들은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이날 1부 개회예배는 고인경부회장(삼남연회장)의 사회로 열려, 박은화부회장(충청연회장)의 기도, 김정희부회장(호남특별연회장)의 성경봉독, 영상을 통한 말씀묵상, 서정숙부회장(서울연회장)의 헌금기도, 전국연합회임원의 헌금특송 등의 순서로 드렸다. ◇이취임식 개회예배에서 이광호목사가 설교했다. 그리고 2부 이·취임식 개회예배의 설교와 축도는 이광호목사(도봉교회)가 맡았다. 이목사는 「멋진 하나님의 일꾼이 되자」란 제목의 설교에서, 여선교회원들이 맡은 일을 감당할 때 △사랑으로 △부지런하게 △즐거움으로 △섬기는 자세로 할 것을 요청했다. 이목사는 “자신이 속한 이 선교회를 어떻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곳으로 채워갈 것인가에 대한 책임이 있다. 여선교회는 기도하는 자들이다. 기도 속에서 주어진 사명을 감당한다”면서, “감리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는 데 있어서 여선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좋은 리더,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하나님의 일꾼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격려사를 전한 백삼현 직전회장은 “우리에게는 행복할 권리,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 권리가 있다”면서, “그리고 우리의 대장은 예수님 한 분뿐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귀한 사명을 겸손함으로 감당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여선교회전국연합회는 2024년 사업계획으로 △11연회가 20아시아국가를 품고 선교하는 ‘비전1120 아시아선교’ △기독교적 관점에서 사회선교를 논의하는 ‘사회선교포럼’ △여성긴급전화 1366 수탁 등을 발표했다. 한편 오는 7일부터 8일까지 전국연합회 임원들을 대상으로 1차 정기임원회 및 전국임원 지도력 세미나를 갖는다. 그리고 14일과 15일에 각각 연회임원 세미나를 가질 예정이다.
-
YWCA-씨티은행,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
한국YWCA연합회와 한국씨티은행은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가졌다. 대상 이진희, 젊은지도자상 김보미, 특별상 한분영 수상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와 한국씨티은행(은행장=유명순)은 지난 23일 서울YWCA강당에서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갖고, 사회 속 여성지도력의 확산을 장려했다. 이번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대상은 ㈜베어베터 공동대표에게 주어졌다. 젊은지도자상은 ‘법무법인 원’ 변호사 김보미가 받았다. 또한 특별상으로 덴마트한국인진상규명그룹(DKRG) 한분영 공동대표가 수여했다. 한국YWCA연합회 원영희회장은 시상식에서 “기후위기, 사회적 소외와 갈등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고 정의, 평화, 생명 사회를 만드는 변화를 이끌어 오신 세 분의 수상자를 축하하며, 창립 101주년을 맞는 한국YWCA도 여성지도력 양성과 사회 참여를 위해 적극 활동하겠다”고 밝혔다. ◇대상을 수상한 이진희대표(베어베터) 이번에 대상을 수상한 이진희대표는 “발달장애인 고용은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는데, 베어베터를 운영하며 지금은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며, “이런 변화를 만든 것은 자신의 일자리를 충실하게 지켜나간 발달장애 사원과 이들이 배제되지 않고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 동료 직원들이 만든 것이다. 그래서 이 상은 모든 구성원이 받는 상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대표는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는 부모로서, 자녀가 자기 힘으로 살아갈 수 있을지 모든 것이 깜깜하고 차갑게 느껴졌다”며, “‘베어베터’라는 존재가 그런 막막함과 두려움을 가진 후배들과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등대나 이정표와 같은 존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젊은 지도자상을 수상한 김보미변호사(법무법인 원) 이날 젊은지도자상을 수상한 김보미변호사는 “변호사는 시민단체의 입법과정에 함께하고, 활동가의 길고 치열한 환경운동 과정에 소송을 수행한다. 이런 일은 아주 작은 일에 불과하고, 언제나 기후운동의 주인공은 활동가와 시민들이다”면서, “기후소송에서 이기고 지는 것이 성공과 실패는 아니지만, 지난한 기후운동 과정에서 소송의 승소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물꼬가 될 수 있다. 앞으로도 많은 분들과 의미있는 일을 해나가며,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 든든한 변호사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특별상을 수상한 한분영대표(덴마트한국인진상규명그룹) 특별상을 수상한 한분영대표는 “많은 분들이 해외 입양인의 인권을 포기하지 않고 아낌없이 지원해주셔서 조금이라도 해외 입양인과 가족들의 인권이 향상될 수 있었다”면서, “작년 진실화해위원회가 해외 입양에 대해 조사를 시작하게 되면서 상상할 수 없던 지지와 응원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한 한 대표는 “우리가 활동하고 사회 변화를 바라는 이유는 우리 마음속에 한국이라는 나라가 있기 때문이다”며, “앞으로도 입양인과 그 가족을 위해, 더불어 해외 입양인 뿐 아니라 오늘날의 한국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계속 활동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분영 대표는 덴마크 한국입양인들을 위해 덴마크어로 수상소감을 덧붙이기도 했다.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인 「드림위드앙상블」 의 공연 올해 시상식에서는 특별히 국내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인 「드림위드앙상블」의 클라리넷 공연이 진행되었다. 사회적기업 드림위드앙상블의 이옥주 이사장은 “이진희 대표의 강연을 듣고 마음의 큰 도전을 받아 2015년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를 시작하고, 직업 모델로 만들게 되었다”고 소개했다. 한국YWCA연합회는 2003년부터 한국씨티은행의 협력으로 운영하는 한국여성지도자상은 올해로 21회째를 맞았다. 창조와 봉사의 정신을 발휘해 여성지도력 향상에 공헌한 여성지도자에게 대상을, 미래 여성의 역할을 열어가는 50세 이하 여성에게 젊은지도자상을, 문화다양성과 평화, 나눔의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온 여성 혹은 단체에게 특별상을 수여해왔다.
-
간병돌봄사, 알고 하면 쉽다
사회봉사활동가 간병돌봄사 한지혜 이사장 음악은 크리스천이 사용하면 찬양이다. 하지만 세상이 사용하면 슬픔과 부정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간병돌봄사란 직업도 마찬가지다. 환자를 돌보는 일이라 힘들다고 피하다보면 결국 이단에게 빼앗기고 만다. 시대적으로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와 같이 순결해야하는 요즘시대를 우리들은 지나가고 있다. 성경은 행동하며 겸손하면, 겸손과 여호와를 경외함에 대한 보응은 존귀와 재물과 영광이라고 했다. 성도와 교회가 일어나서 죽어가는 이들에게 생명을 전하고 천국소망을 넣어주며, 자신 있게 현실도 헤쳐 나가길 기도한다. 개척교회를 세우고 예수님께서 명령한 영혼구원을 실천하기 위해 성전을 이끌어 가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시대를 접하고 지나가게 되면서 더욱 깊어지는 생활고와 배고픈 목회에 특히 여목사와 목회자 사모들의 눈물은 바다를 이룰 듯하다. 천국복음의 대언자들이 다행히도 이 땅에는 차고 넘친다. 그러나 한손에는 신문과 한손에는 성경을 든 영적사도 즉 목사들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시대가 이제는 선교지에 도착한 것과 같이 호칭에 상관없이 예수그리스도를 전해야하는 그런 시간 속에 우리들이 있다. 마치 일을 하면 부끄러운 것 같이, 때가 묻는 것같이 생각하는 것은 구시대적인 발상에 지나지 않는다. 간병돌봄사의 일자리가 지금은 하고 싶으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머지않아 자리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일이 생긴다. 한번 시작하면 10년 이상 하는 간병돌봄사가 많기 때문이다. 원하는 것은 믿는 형제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받으면서, 받은 그 사랑을 나누어주는 간병돌봄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깊이 있게 기도하는 것이다. 이 직업을 향해 행동하고 움직이는 영적지도자들에게는 기도와 겸손이 자본이 된다. 그리고 열매를 맺는 영혼구원을 완성시키는 강건한 지도자들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문화 속에 하나님의 참뜻을 이루는 일이 될 것이다. 간병돌봄사의 선교적인 참여는 낮아지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영역이다. 사람의 육체가 얼마나 유리그릇같이 나약한 존재인지도 눈으로 보고 느끼면서, 생명이 귀하고 소중하나 내일 일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또한 자칫 생명귀함에 예수님의 마음을 놓쳐버릴 수 있는 안일한 마음에도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것은 간병인의 돌봄 과정에 있다. 하나님은 멀리 계신 분이 아니다. 가깝게 계시면서 우리들의 진실한 섬김에 기적과 같은 사랑의 가치가 배어나게 하신다. 사람을 아끼시고 사랑하시는 그분은 우리들에게 처한 환경 속에서 소금의 역할을 기대하고 계신다. 간병돌봄으로 인한 개척교회의 자립과 많은 말보다도 실천하는 행동들 위에 우리들도 존귀함과 존중을 받으며, 사랑의 매개체로서의 빛을 나타내게 된다. 하나님과 합한 마음으로 진정한 기쁨을 누리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환경이 열어지게 된다. 개척교회의 물질적인 자립목적과 복음을 위해 택한 간병돌봄사가 건강을 잃은 자들의 곁에서 기도와 돌봄을 준다면, 더없는 기쁨이 함께하는 축복의 통로로서 진정한 평안이 오리라고 생각한다. 환자의 입장에서도 그리고 보호자의 입장에서도 선한 사람들과의 돌봄을 기다리고 또한 감사하게 생각할 것이다 사랑이 전부이신 우리들의 아버지 하나님. 우리가 모태에 잉태하기 전부터 내가 너를 아노라 하신 하나님. 홀로 왔다가 홀로 가는 인생의 여정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은혜로 날마다 평안으로 가득하게하소서. 주님의 피 값으로 세우신 교회 위에 섬세한 돌보심과 필요를 채워주시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가득 하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흘리신 보혈의 능력으로 우리들의 모든 문제와 삶의 순간 속에 개입하여 주시기를 워하나이다. 그래서 불통이 형통으로, 원망이 회개로, 미움이 용서로 우리들의 심령이 고쳐지는 기적이 체험되게 하시고, 현실에서도 움직이는 성전인 지체가 보여주는 믿음을 허락 하시옵소서,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하도록 동일하신 예수그리스도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
YW·YMCA, 세계기도 주간 연합예배
◇한국YWCA연합회와 한국YMCA전국연맹은 2023 연합예배를 드리고, 연대의 정신으로 나아갈 것을 다짐했다 6일의 기도주간에 활용할 수 있는 예배자료를 만들어 배포 두 기관의 연대를 통한 사랑과 희망을 키우는 사역에 앞장 2023 YWCA·YMCA 세계기도 주간을 맞아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장로)와 한국YMCA전국연맹(이사장=김신향장로)는 지난 16일 서울YWCA(회장=조연신) 회관에서 연합예배를 드렸다. 이날 서로가 동료 활동가로서 마음을 하나로 묶는 ‘연대’와 ‘화합’의 정신을 기억하며, 선한 영향력을 끼칠 것을 다짐했다. 특히 두 단체는 연대를 통해 사랑과 희망을 키우는 사역에 앞장서기로 했다. 이날 예배는 「씨앗을 심고 꽃이 피기까지: 연대를 통해 희망과 사랑을 키우다」란 주제로 열렸다.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2023 YWCA·YMCA 세계기도 주간을 맞아 연합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YWCA-YMCA 연합찬양단의 「샤론의 꽃 예수」 특송이 있었다. 이날 예배는 한미미부회장(세계YWCA)의 인도로 열린 가운데, 양다은팀장(한국YMCA)의 여는 기도, 황은식팀장(한국YMCA)과 오경아부장(서울YWCA)의 말씀봉독, 이예림간사(한국YWCA)의 기도에 이어 전수희목사(한국YWCA 여성신학위원)의 설교 등의 순서로 드렸다. ◇전수희목사는 들을 귀 있는 사람에 대해 이야기 했다. 이날 전수희목사(움트다 연구소 대표)는 「오늘, 우리」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전목사는 “예수님은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으라’고 하셨다. 그 자리, 바닷가에 있는 모든 사람을 향해 말씀하셨다”며, “말귀를 잘 알아듣는 사람, 말씀을 기록하는 사람, 못 알아듣는 사람, 또 풀어서 설명해 주는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이 말은 ‘잘 듣고, 가서 전해라’, ‘들은 사람이 옆사람을 도와줘라’라는 의미였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리고 전목사는 “우리는 예수님과 함께할 때 예수님의 음성을 들을 수가 있다”면서, “그보다 우리는 예수님이 계신 자리로 나아가야만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씨뿌리는 자’의 예화를 통해 “어디에 뿌려지느냐에 따라 다른 결실을 맺게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씨앗에 싹을 틔워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하나님이시다”면서, “그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씨를 뿌리는 역할로 부름을 받았다. 하나님께서 내일의 열매를 거둘 수 있도록 인도하실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2부는 한국YWCA연합회 구정혜사무총장의 사회로, 각 단체 회장 및 실무진들의 인사 자리가 있었다. 서울YWCA 조연신회장과 김양선사무총장, 한국YMCA전국연맹 김경민사무총장과 유지재단 안재웅이사장, 한국YWCA연합회 원영희회장 등이 인사말을 전했다. 한편 세계YWCA와 세계YMCA는 세계 에큐메니컬 기독청년 단체로 운동 방향성의 공유를 위해, 매년 11월 중 공동 기도주간을 정하고 공통의 주제와 내용으로 기도하며 연합예배를 드려왔다. 세계YWCA 미라 리제크회장과 세계YMCA 소헤일라 하이예크회장은 서면을 통해 “우리들은 마치 우리가 키우는 식물과 같이 각자가 고유하며 성장하기 위해 다른 관리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정원 안에서 자라고 있는 존재들이다”면서, “우리가 하는 운동은 다양한 배경, 문화, 관점을 포용한다.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정원처럼, 다양성이 아름다움과 힘의 원천임을 여러분들이 인식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또한 두 기관은 6일간 매일같이 활용할 수 있는 예배자료를 만들어 배포했다. 예배자료는 서로 다른 세대와 성별을 대표하는 두 명이 한 쌍을 이루도록 고안되어 만들어졌다.
-
한국YWCA서 한국여성지도자상 선정
대상에 이진희대표, 젊은지도자상에 김보미변호사 등 선정 그간 우리 사회에 공헌한 48명의 여성들을 발굴하여 격려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와 한국씨티은행(은행장=유명순)은 오는 23일 서울YWCA회관에서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갖고, 장애인 사회참여, 기후정의, 해외입양아 권리개선에 힘써온 수상자 3인의 여성지도력을 널리 알린다. 이번에는 대상에 이진희 공동대표(베어베터), 젊은지도자상에 김보미 변호사(법무법인 원), 특별상에 한분영 공동대표(덴마크한국인진상규명그룹)를 각각 선정했다. ◇이진희공동대표 ◇김보미변호사 ◇한분영공동대표 대상으로 선정된 이진희 공동대표는 장애인들이 일하고 중심이 되는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며, 단순히 일자리 창출을 넘어 발달장애인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연합회는 “이진희대표는 발달장애인에게 교육이나 훈련 뿐 아니라, 일자리가 가장 필요하다는 점을 알고 2012년 사회적기업 설립했다”면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의 민간 기업은 장애인 직원을 3.1% 이상 의무 고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준수하기 어려운 기업과 ‘연계 고용’ 협약을 통해 발달장애인들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발달장애 직원 5명으로 시작한 베어베터는 현재 250여 명이 넘는 회사로 성장해, 고용을 넘어서 제과, 화훼, 인쇄, 커피 제조 영역에서 직무와 작업과정을 쉽게 재구성하고 정밀하게 설계하여 발달장애인이 업무에 숙련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평했다. 젊은지도자상에 선정된 김보미변호사는 기후와 환경, 인권 등의 분야에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익적 법률 활동 지속해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변호사는 법무법인 원, 사단법인 선 변호사로 일하며 기후위기와 환경, 난민, 여성 인권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률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김변호사는 베트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며 시위를 진행한 기후활동가가 기업으로부터 형법적, 민법적 책임을 묻는 청구 소송을 당했을 때, 기후활동가들의 시위가 공익적 목적에서 정당성이 있음을 주장하며 기각판결을 이끌어 냈다. 특별상에 선정된 한분영공동대표는 한국사회 입양 과정의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외 입양인의 권리 개선을 위한 활동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았다. 1974년 덴마크로 입양된 한대표는 2002년 한국으로 돌아와 정착했고,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 시스템 개선 필요성과 입양인들의 정보 접근 권리 보장 등의 문제를 공론화하며 다양한 해외 입양인 권리 개선 활동을 해왔다. 한분영 대표는 300여명의 해외 입양인과 함께 한국 정부에 불법 입양 및 인권 침해 실태조사와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등, 한국의 해외입양 제도가 인권의 차원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지적하며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이 국내 사회복지 제도 안에서 충분한 지원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올해로 21회를 맞는 한국여성지도자상은 그동안 48명의 여성지도자를 발굴하여 격려해 왔다. 창조와 봉사의 정신을 발휘해 여성지도력 향상에 공헌한 여성지도자에게 대상을, 미래 여성의 역할을 열어가는 50세 이하 여성에게 젊은지도자상을, 문화적 다양성과 평화, 나눔의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온 여성 혹은 단체에게 특별상을 수여해 왔다. 지난 20회 한국여성지도자상에는 대상에 김중미작가, 젊은 여성지도자상에 노영선교수(서울대병원)를 선정했었다. 이번 21회 시상식은 오후 2시에 열린다.
-
기독여민회서 제26회 종교개혁제
◇기독여민회는 제26회 「종교개혁제 참사와 사회적 고통 앞에 선 그리스도인」을 갖고, 사회적 재난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자세와 역할을 고민했다. 유가족이 힘들거나 도움요청때 종교인을 가장 먼저 찾고 생명 경시하는 무관심한 사회적 분위기 속 참사재발 우려 기독여민회(회장=여혜숙)는 지난 7일 영등포산업선교회 3층에서 「참사와 사회적 고통 앞에 선 그리스도인」이란 주제로 제26회 종교개혁제를 열고, 사회적 참사로 고통을 겪고 있는 자들을 향한 그리스도인들과 교회의 역할을 논의했다. 이날 모임에서는, 이어진 사회적 참사 속에서 교회는 고통에 예민하게 반응해야 하며 사회적 재난을 공동체의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포럼은 정책위원장인 이현아목사의 사회로 열렸다. 주제강연은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 활동 해 온 신학자, 정경일박사가 맡았다. 정박사는 「재난 속의 기쁨: 사회적 우애」란 제목으로,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하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고민을 전했다. 정박사는 “거의 10년 동안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 활동하고 있는데, 슬픔이나 고난만 있었다면 지금까지 하지 못했을 것이다”며, “당시에 사회적 우울이 굉장히 심했는데, 사회적 참사를 겪은 유가족들이 재난 속에서도 기쁨, 감사, 연대가 있었다”면서 사회적 우애 안에서의 기쁨을 고백했다. 그리고 정박사는 리베카 솔닛의 책 <이 폐허를 응시하라>를 소개하며 “리베카 솔닛은 ‘재난 유토피아’를 말하는데, 이 책은 대재난 속에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구를 담고 있다”며, “빚진 마음으로 세월호 유가족 곁에서 함께하는 사람들, 재난 속에서 서로 위로하고 연대하는 그리스도인들의 예배와 기도회가 재난 유토피아이다”고 말했다. 또한 정박사는 “우리가 재난 속에서도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건 재난을 견디게 하는 ‘우정’과 ‘기쁨’의 기술이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2부 주제 발제에서는 김민아박사(기독교사회선교연대회의)가 「‘목사님’의 자리」란 제목으로 기독교사회운동의 역사적 맥락 안에서 교회의 현실을 진단하고, 활동현장의 이야기를 나눴다. 김박사는 “사회적 참사는 ‘재난’과 다르다”며, “사회적 참사에서 죽음은 ‘불운’에 의한 것, ‘불가항력’적인 것, ‘운명론’적으로 수용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박사는 “사회적 참사로 인한 집단적 고통과 죽음, 그것의 극복을 위한 사회적 노력은 종교와의 접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인간이 마주하는 한계상황에 대한 설명,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열망, 상처의 치유와 회복 등은 오랜 시간동안 종교의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개신교는 사랑의 종교라고 일컬어질 만큼 이웃사랑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김박사는 “실제로 유가족들은 힘든 일이 있거나 요청할 내용이 있을 때 가장 먼저 종교인들을 찾는다”면서, “무언가 새로운 실천 방식이 필요할 때, 어딘가에 대고 하소연하고 싶거나 위로 받고 싶을 때, 잃어버린 가족이 생각날 때, 희망을 발견하고 싶을 때, 심지어 ‘삼보일배’를 할 때에도 ‘목사님’을 찾는다”고 전했다. 이날 여혜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사회적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그리고 대책 마련 없이 안일하게 처리된 사회적 참사는 또 다음 참사를 불러온다”면서, “생명을 경시하는 탐욕의 사회는 구조적 문제해결의 의지 없이 고통의 악순환은 되풀이된다. ‘사회적 영성’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3부 이야기마당을 통해 참가자들의 개인의 경험과 활동을 공유하며, 서로를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
-
기감 여선교회 총회 및 이·취임식
- ◇기감 여선교회전국연합회는 제55회 총회를 개회하고, 전국연합회 신임 임원들을 선출했다.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회장=이정숙장로)는 지난 23일 여선교회관 9층에서 제55회 총회를 열어 임원을 선출하고, 이취임식을 가졌다. 이날 여선교회원들은 선교사명과 비전을 재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연합회는 새 회기의 주제로 「그대, 선교의 딸! 이땅에 생명·평화 이루자」를 발표했다. 이날 이·취임식은 전국연합회 이윤정총무의 사회로 열린 가운데, 이정숙회장은 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공로장을 전달했다. 이임하는 임원들은 이임사를 전했고, 전국연합회 임원들은 선서식을 가졌다. 특별히 황은경사모는 축가로 「주의 은혜라」를 불렀다.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임원들은 선서식을 가졌다. 새 임원은 △회계=최경숙권사 △부회계=김구비권사 △부서기=이현영권사 △교육부장=최미영권사 △사회사업부장=한영숙권사 △청소녀지도부장=유순예권사 △문화부장=조혜숙권사 △감사=박금희·김은주권사이다.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이정숙회장은 “여성들의 인권과 평등한 삶을 위해 뜨거운 열정으로 사역 하기를 멈추지 않았던 선배들. 여선교회의 수 많은 헌신자, 사명자들이 한 마음, 한 뜻으로 신앙의 바통을 주고 받으며 이어온 오늘이다”며, “올 한해도 여선교회를 사랑하고 자긍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전국의 많은 여선교회원들이 복음을 들고 여선교회의 전국, 연회, 지방, 개체교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감리교회를 지키고, 세우고, 빛냈다”고 격려했다. ◇이임 임원들은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이날 1부 개회예배는 고인경부회장(삼남연회장)의 사회로 열려, 박은화부회장(충청연회장)의 기도, 김정희부회장(호남특별연회장)의 성경봉독, 영상을 통한 말씀묵상, 서정숙부회장(서울연회장)의 헌금기도, 전국연합회임원의 헌금특송 등의 순서로 드렸다. ◇이취임식 개회예배에서 이광호목사가 설교했다. 그리고 2부 이·취임식 개회예배의 설교와 축도는 이광호목사(도봉교회)가 맡았다. 이목사는 「멋진 하나님의 일꾼이 되자」란 제목의 설교에서, 여선교회원들이 맡은 일을 감당할 때 △사랑으로 △부지런하게 △즐거움으로 △섬기는 자세로 할 것을 요청했다. 이목사는 “자신이 속한 이 선교회를 어떻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곳으로 채워갈 것인가에 대한 책임이 있다. 여선교회는 기도하는 자들이다. 기도 속에서 주어진 사명을 감당한다”면서, “감리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는 데 있어서 여선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좋은 리더,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하나님의 일꾼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격려사를 전한 백삼현 직전회장은 “우리에게는 행복할 권리,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 권리가 있다”면서, “그리고 우리의 대장은 예수님 한 분뿐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귀한 사명을 겸손함으로 감당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여선교회전국연합회는 2024년 사업계획으로 △11연회가 20아시아국가를 품고 선교하는 ‘비전1120 아시아선교’ △기독교적 관점에서 사회선교를 논의하는 ‘사회선교포럼’ △여성긴급전화 1366 수탁 등을 발표했다. 한편 오는 7일부터 8일까지 전국연합회 임원들을 대상으로 1차 정기임원회 및 전국임원 지도력 세미나를 갖는다. 그리고 14일과 15일에 각각 연회임원 세미나를 가질 예정이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기감 여선교회 총회 및 이·취임식
-
-
YWCA-씨티은행,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
- 한국YWCA연합회와 한국씨티은행은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가졌다. 대상 이진희, 젊은지도자상 김보미, 특별상 한분영 수상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와 한국씨티은행(은행장=유명순)은 지난 23일 서울YWCA강당에서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갖고, 사회 속 여성지도력의 확산을 장려했다. 이번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대상은 ㈜베어베터 공동대표에게 주어졌다. 젊은지도자상은 ‘법무법인 원’ 변호사 김보미가 받았다. 또한 특별상으로 덴마트한국인진상규명그룹(DKRG) 한분영 공동대표가 수여했다. 한국YWCA연합회 원영희회장은 시상식에서 “기후위기, 사회적 소외와 갈등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고 정의, 평화, 생명 사회를 만드는 변화를 이끌어 오신 세 분의 수상자를 축하하며, 창립 101주년을 맞는 한국YWCA도 여성지도력 양성과 사회 참여를 위해 적극 활동하겠다”고 밝혔다. ◇대상을 수상한 이진희대표(베어베터) 이번에 대상을 수상한 이진희대표는 “발달장애인 고용은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는데, 베어베터를 운영하며 지금은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며, “이런 변화를 만든 것은 자신의 일자리를 충실하게 지켜나간 발달장애 사원과 이들이 배제되지 않고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 동료 직원들이 만든 것이다. 그래서 이 상은 모든 구성원이 받는 상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대표는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는 부모로서, 자녀가 자기 힘으로 살아갈 수 있을지 모든 것이 깜깜하고 차갑게 느껴졌다”며, “‘베어베터’라는 존재가 그런 막막함과 두려움을 가진 후배들과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등대나 이정표와 같은 존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젊은 지도자상을 수상한 김보미변호사(법무법인 원) 이날 젊은지도자상을 수상한 김보미변호사는 “변호사는 시민단체의 입법과정에 함께하고, 활동가의 길고 치열한 환경운동 과정에 소송을 수행한다. 이런 일은 아주 작은 일에 불과하고, 언제나 기후운동의 주인공은 활동가와 시민들이다”면서, “기후소송에서 이기고 지는 것이 성공과 실패는 아니지만, 지난한 기후운동 과정에서 소송의 승소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물꼬가 될 수 있다. 앞으로도 많은 분들과 의미있는 일을 해나가며,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 든든한 변호사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특별상을 수상한 한분영대표(덴마트한국인진상규명그룹) 특별상을 수상한 한분영대표는 “많은 분들이 해외 입양인의 인권을 포기하지 않고 아낌없이 지원해주셔서 조금이라도 해외 입양인과 가족들의 인권이 향상될 수 있었다”면서, “작년 진실화해위원회가 해외 입양에 대해 조사를 시작하게 되면서 상상할 수 없던 지지와 응원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한 한 대표는 “우리가 활동하고 사회 변화를 바라는 이유는 우리 마음속에 한국이라는 나라가 있기 때문이다”며, “앞으로도 입양인과 그 가족을 위해, 더불어 해외 입양인 뿐 아니라 오늘날의 한국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계속 활동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분영 대표는 덴마크 한국입양인들을 위해 덴마크어로 수상소감을 덧붙이기도 했다.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인 「드림위드앙상블」 의 공연 올해 시상식에서는 특별히 국내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인 「드림위드앙상블」의 클라리넷 공연이 진행되었다. 사회적기업 드림위드앙상블의 이옥주 이사장은 “이진희 대표의 강연을 듣고 마음의 큰 도전을 받아 2015년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를 시작하고, 직업 모델로 만들게 되었다”고 소개했다. 한국YWCA연합회는 2003년부터 한국씨티은행의 협력으로 운영하는 한국여성지도자상은 올해로 21회째를 맞았다. 창조와 봉사의 정신을 발휘해 여성지도력 향상에 공헌한 여성지도자에게 대상을, 미래 여성의 역할을 열어가는 50세 이하 여성에게 젊은지도자상을, 문화다양성과 평화, 나눔의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온 여성 혹은 단체에게 특별상을 수여해왔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YWCA-씨티은행,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
-
-
간병돌봄사, 알고 하면 쉽다
- 사회봉사활동가 간병돌봄사 한지혜 이사장 음악은 크리스천이 사용하면 찬양이다. 하지만 세상이 사용하면 슬픔과 부정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간병돌봄사란 직업도 마찬가지다. 환자를 돌보는 일이라 힘들다고 피하다보면 결국 이단에게 빼앗기고 만다. 시대적으로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와 같이 순결해야하는 요즘시대를 우리들은 지나가고 있다. 성경은 행동하며 겸손하면, 겸손과 여호와를 경외함에 대한 보응은 존귀와 재물과 영광이라고 했다. 성도와 교회가 일어나서 죽어가는 이들에게 생명을 전하고 천국소망을 넣어주며, 자신 있게 현실도 헤쳐 나가길 기도한다. 개척교회를 세우고 예수님께서 명령한 영혼구원을 실천하기 위해 성전을 이끌어 가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시대를 접하고 지나가게 되면서 더욱 깊어지는 생활고와 배고픈 목회에 특히 여목사와 목회자 사모들의 눈물은 바다를 이룰 듯하다. 천국복음의 대언자들이 다행히도 이 땅에는 차고 넘친다. 그러나 한손에는 신문과 한손에는 성경을 든 영적사도 즉 목사들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시대가 이제는 선교지에 도착한 것과 같이 호칭에 상관없이 예수그리스도를 전해야하는 그런 시간 속에 우리들이 있다. 마치 일을 하면 부끄러운 것 같이, 때가 묻는 것같이 생각하는 것은 구시대적인 발상에 지나지 않는다. 간병돌봄사의 일자리가 지금은 하고 싶으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머지않아 자리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일이 생긴다. 한번 시작하면 10년 이상 하는 간병돌봄사가 많기 때문이다. 원하는 것은 믿는 형제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받으면서, 받은 그 사랑을 나누어주는 간병돌봄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깊이 있게 기도하는 것이다. 이 직업을 향해 행동하고 움직이는 영적지도자들에게는 기도와 겸손이 자본이 된다. 그리고 열매를 맺는 영혼구원을 완성시키는 강건한 지도자들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문화 속에 하나님의 참뜻을 이루는 일이 될 것이다. 간병돌봄사의 선교적인 참여는 낮아지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영역이다. 사람의 육체가 얼마나 유리그릇같이 나약한 존재인지도 눈으로 보고 느끼면서, 생명이 귀하고 소중하나 내일 일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또한 자칫 생명귀함에 예수님의 마음을 놓쳐버릴 수 있는 안일한 마음에도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것은 간병인의 돌봄 과정에 있다. 하나님은 멀리 계신 분이 아니다. 가깝게 계시면서 우리들의 진실한 섬김에 기적과 같은 사랑의 가치가 배어나게 하신다. 사람을 아끼시고 사랑하시는 그분은 우리들에게 처한 환경 속에서 소금의 역할을 기대하고 계신다. 간병돌봄으로 인한 개척교회의 자립과 많은 말보다도 실천하는 행동들 위에 우리들도 존귀함과 존중을 받으며, 사랑의 매개체로서의 빛을 나타내게 된다. 하나님과 합한 마음으로 진정한 기쁨을 누리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환경이 열어지게 된다. 개척교회의 물질적인 자립목적과 복음을 위해 택한 간병돌봄사가 건강을 잃은 자들의 곁에서 기도와 돌봄을 준다면, 더없는 기쁨이 함께하는 축복의 통로로서 진정한 평안이 오리라고 생각한다. 환자의 입장에서도 그리고 보호자의 입장에서도 선한 사람들과의 돌봄을 기다리고 또한 감사하게 생각할 것이다 사랑이 전부이신 우리들의 아버지 하나님. 우리가 모태에 잉태하기 전부터 내가 너를 아노라 하신 하나님. 홀로 왔다가 홀로 가는 인생의 여정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은혜로 날마다 평안으로 가득하게하소서. 주님의 피 값으로 세우신 교회 위에 섬세한 돌보심과 필요를 채워주시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가득 하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흘리신 보혈의 능력으로 우리들의 모든 문제와 삶의 순간 속에 개입하여 주시기를 워하나이다. 그래서 불통이 형통으로, 원망이 회개로, 미움이 용서로 우리들의 심령이 고쳐지는 기적이 체험되게 하시고, 현실에서도 움직이는 성전인 지체가 보여주는 믿음을 허락 하시옵소서,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하도록 동일하신 예수그리스도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간병돌봄사, 알고 하면 쉽다
-
-
YW·YMCA, 세계기도 주간 연합예배
- ◇한국YWCA연합회와 한국YMCA전국연맹은 2023 연합예배를 드리고, 연대의 정신으로 나아갈 것을 다짐했다 6일의 기도주간에 활용할 수 있는 예배자료를 만들어 배포 두 기관의 연대를 통한 사랑과 희망을 키우는 사역에 앞장 2023 YWCA·YMCA 세계기도 주간을 맞아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장로)와 한국YMCA전국연맹(이사장=김신향장로)는 지난 16일 서울YWCA(회장=조연신) 회관에서 연합예배를 드렸다. 이날 서로가 동료 활동가로서 마음을 하나로 묶는 ‘연대’와 ‘화합’의 정신을 기억하며, 선한 영향력을 끼칠 것을 다짐했다. 특히 두 단체는 연대를 통해 사랑과 희망을 키우는 사역에 앞장서기로 했다. 이날 예배는 「씨앗을 심고 꽃이 피기까지: 연대를 통해 희망과 사랑을 키우다」란 주제로 열렸다.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2023 YWCA·YMCA 세계기도 주간을 맞아 연합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YWCA-YMCA 연합찬양단의 「샤론의 꽃 예수」 특송이 있었다. 이날 예배는 한미미부회장(세계YWCA)의 인도로 열린 가운데, 양다은팀장(한국YMCA)의 여는 기도, 황은식팀장(한국YMCA)과 오경아부장(서울YWCA)의 말씀봉독, 이예림간사(한국YWCA)의 기도에 이어 전수희목사(한국YWCA 여성신학위원)의 설교 등의 순서로 드렸다. ◇전수희목사는 들을 귀 있는 사람에 대해 이야기 했다. 이날 전수희목사(움트다 연구소 대표)는 「오늘, 우리」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전목사는 “예수님은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으라’고 하셨다. 그 자리, 바닷가에 있는 모든 사람을 향해 말씀하셨다”며, “말귀를 잘 알아듣는 사람, 말씀을 기록하는 사람, 못 알아듣는 사람, 또 풀어서 설명해 주는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이 말은 ‘잘 듣고, 가서 전해라’, ‘들은 사람이 옆사람을 도와줘라’라는 의미였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리고 전목사는 “우리는 예수님과 함께할 때 예수님의 음성을 들을 수가 있다”면서, “그보다 우리는 예수님이 계신 자리로 나아가야만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씨뿌리는 자’의 예화를 통해 “어디에 뿌려지느냐에 따라 다른 결실을 맺게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씨앗에 싹을 틔워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하나님이시다”면서, “그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씨를 뿌리는 역할로 부름을 받았다. 하나님께서 내일의 열매를 거둘 수 있도록 인도하실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2부는 한국YWCA연합회 구정혜사무총장의 사회로, 각 단체 회장 및 실무진들의 인사 자리가 있었다. 서울YWCA 조연신회장과 김양선사무총장, 한국YMCA전국연맹 김경민사무총장과 유지재단 안재웅이사장, 한국YWCA연합회 원영희회장 등이 인사말을 전했다. 한편 세계YWCA와 세계YMCA는 세계 에큐메니컬 기독청년 단체로 운동 방향성의 공유를 위해, 매년 11월 중 공동 기도주간을 정하고 공통의 주제와 내용으로 기도하며 연합예배를 드려왔다. 세계YWCA 미라 리제크회장과 세계YMCA 소헤일라 하이예크회장은 서면을 통해 “우리들은 마치 우리가 키우는 식물과 같이 각자가 고유하며 성장하기 위해 다른 관리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정원 안에서 자라고 있는 존재들이다”면서, “우리가 하는 운동은 다양한 배경, 문화, 관점을 포용한다.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정원처럼, 다양성이 아름다움과 힘의 원천임을 여러분들이 인식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또한 두 기관은 6일간 매일같이 활용할 수 있는 예배자료를 만들어 배포했다. 예배자료는 서로 다른 세대와 성별을 대표하는 두 명이 한 쌍을 이루도록 고안되어 만들어졌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YW·YMCA, 세계기도 주간 연합예배
-
-
한국YWCA서 한국여성지도자상 선정
- 대상에 이진희대표, 젊은지도자상에 김보미변호사 등 선정 그간 우리 사회에 공헌한 48명의 여성들을 발굴하여 격려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와 한국씨티은행(은행장=유명순)은 오는 23일 서울YWCA회관에서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갖고, 장애인 사회참여, 기후정의, 해외입양아 권리개선에 힘써온 수상자 3인의 여성지도력을 널리 알린다. 이번에는 대상에 이진희 공동대표(베어베터), 젊은지도자상에 김보미 변호사(법무법인 원), 특별상에 한분영 공동대표(덴마크한국인진상규명그룹)를 각각 선정했다. ◇이진희공동대표 ◇김보미변호사 ◇한분영공동대표 대상으로 선정된 이진희 공동대표는 장애인들이 일하고 중심이 되는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며, 단순히 일자리 창출을 넘어 발달장애인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연합회는 “이진희대표는 발달장애인에게 교육이나 훈련 뿐 아니라, 일자리가 가장 필요하다는 점을 알고 2012년 사회적기업 설립했다”면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의 민간 기업은 장애인 직원을 3.1% 이상 의무 고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준수하기 어려운 기업과 ‘연계 고용’ 협약을 통해 발달장애인들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발달장애 직원 5명으로 시작한 베어베터는 현재 250여 명이 넘는 회사로 성장해, 고용을 넘어서 제과, 화훼, 인쇄, 커피 제조 영역에서 직무와 작업과정을 쉽게 재구성하고 정밀하게 설계하여 발달장애인이 업무에 숙련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평했다. 젊은지도자상에 선정된 김보미변호사는 기후와 환경, 인권 등의 분야에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익적 법률 활동 지속해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변호사는 법무법인 원, 사단법인 선 변호사로 일하며 기후위기와 환경, 난민, 여성 인권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률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김변호사는 베트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며 시위를 진행한 기후활동가가 기업으로부터 형법적, 민법적 책임을 묻는 청구 소송을 당했을 때, 기후활동가들의 시위가 공익적 목적에서 정당성이 있음을 주장하며 기각판결을 이끌어 냈다. 특별상에 선정된 한분영공동대표는 한국사회 입양 과정의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외 입양인의 권리 개선을 위한 활동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았다. 1974년 덴마크로 입양된 한대표는 2002년 한국으로 돌아와 정착했고,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 시스템 개선 필요성과 입양인들의 정보 접근 권리 보장 등의 문제를 공론화하며 다양한 해외 입양인 권리 개선 활동을 해왔다. 한분영 대표는 300여명의 해외 입양인과 함께 한국 정부에 불법 입양 및 인권 침해 실태조사와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등, 한국의 해외입양 제도가 인권의 차원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지적하며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이 국내 사회복지 제도 안에서 충분한 지원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올해로 21회를 맞는 한국여성지도자상은 그동안 48명의 여성지도자를 발굴하여 격려해 왔다. 창조와 봉사의 정신을 발휘해 여성지도력 향상에 공헌한 여성지도자에게 대상을, 미래 여성의 역할을 열어가는 50세 이하 여성에게 젊은지도자상을, 문화적 다양성과 평화, 나눔의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온 여성 혹은 단체에게 특별상을 수여해 왔다. 지난 20회 한국여성지도자상에는 대상에 김중미작가, 젊은 여성지도자상에 노영선교수(서울대병원)를 선정했었다. 이번 21회 시상식은 오후 2시에 열린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한국YWCA서 한국여성지도자상 선정
-
-
기독여민회서 제26회 종교개혁제
- ◇기독여민회는 제26회 「종교개혁제 참사와 사회적 고통 앞에 선 그리스도인」을 갖고, 사회적 재난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자세와 역할을 고민했다. 유가족이 힘들거나 도움요청때 종교인을 가장 먼저 찾고 생명 경시하는 무관심한 사회적 분위기 속 참사재발 우려 기독여민회(회장=여혜숙)는 지난 7일 영등포산업선교회 3층에서 「참사와 사회적 고통 앞에 선 그리스도인」이란 주제로 제26회 종교개혁제를 열고, 사회적 참사로 고통을 겪고 있는 자들을 향한 그리스도인들과 교회의 역할을 논의했다. 이날 모임에서는, 이어진 사회적 참사 속에서 교회는 고통에 예민하게 반응해야 하며 사회적 재난을 공동체의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포럼은 정책위원장인 이현아목사의 사회로 열렸다. 주제강연은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 활동 해 온 신학자, 정경일박사가 맡았다. 정박사는 「재난 속의 기쁨: 사회적 우애」란 제목으로,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하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고민을 전했다. 정박사는 “거의 10년 동안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 활동하고 있는데, 슬픔이나 고난만 있었다면 지금까지 하지 못했을 것이다”며, “당시에 사회적 우울이 굉장히 심했는데, 사회적 참사를 겪은 유가족들이 재난 속에서도 기쁨, 감사, 연대가 있었다”면서 사회적 우애 안에서의 기쁨을 고백했다. 그리고 정박사는 리베카 솔닛의 책 <이 폐허를 응시하라>를 소개하며 “리베카 솔닛은 ‘재난 유토피아’를 말하는데, 이 책은 대재난 속에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구를 담고 있다”며, “빚진 마음으로 세월호 유가족 곁에서 함께하는 사람들, 재난 속에서 서로 위로하고 연대하는 그리스도인들의 예배와 기도회가 재난 유토피아이다”고 말했다. 또한 정박사는 “우리가 재난 속에서도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건 재난을 견디게 하는 ‘우정’과 ‘기쁨’의 기술이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2부 주제 발제에서는 김민아박사(기독교사회선교연대회의)가 「‘목사님’의 자리」란 제목으로 기독교사회운동의 역사적 맥락 안에서 교회의 현실을 진단하고, 활동현장의 이야기를 나눴다. 김박사는 “사회적 참사는 ‘재난’과 다르다”며, “사회적 참사에서 죽음은 ‘불운’에 의한 것, ‘불가항력’적인 것, ‘운명론’적으로 수용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박사는 “사회적 참사로 인한 집단적 고통과 죽음, 그것의 극복을 위한 사회적 노력은 종교와의 접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인간이 마주하는 한계상황에 대한 설명,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열망, 상처의 치유와 회복 등은 오랜 시간동안 종교의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개신교는 사랑의 종교라고 일컬어질 만큼 이웃사랑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김박사는 “실제로 유가족들은 힘든 일이 있거나 요청할 내용이 있을 때 가장 먼저 종교인들을 찾는다”면서, “무언가 새로운 실천 방식이 필요할 때, 어딘가에 대고 하소연하고 싶거나 위로 받고 싶을 때, 잃어버린 가족이 생각날 때, 희망을 발견하고 싶을 때, 심지어 ‘삼보일배’를 할 때에도 ‘목사님’을 찾는다”고 전했다. 이날 여혜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사회적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그리고 대책 마련 없이 안일하게 처리된 사회적 참사는 또 다음 참사를 불러온다”면서, “생명을 경시하는 탐욕의 사회는 구조적 문제해결의 의지 없이 고통의 악순환은 되풀이된다. ‘사회적 영성’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3부 이야기마당을 통해 참가자들의 개인의 경험과 활동을 공유하며, 서로를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기독여민회서 제26회 종교개혁제
실시간 여성 기사
-
-
여성 단신
- ◆한국여성의전화 온라인세미나· 한국여성의전화(공동대표=)는 5일 오후 7시 줌(Zoom)으로「‘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 개념화 및 대응 체계 모색」이란 주제로 2023 온라인 세미나를 생중계한다. 발제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인 김효정박사이다. '친밀한 관계 내 여성폭력'의 개념과 관계의 범위, 국가적 대응체계 등을 논의한다. ◆서울YWCA 창립 101주년 기념예배· 서울YWCA(회장=조연신)는 8일 오전 10시에 동 회관 대강당에서 창립 101주년 기념예배를 갖는다. 이재훈목사(온누리교회)가 설교한다. 그리고 찬양은 히즈윌(His Will) 김동욱이 인도한다. ◆로제타 홀 탄생 130주년 기념예배· 로제타홀기념관(이사장=정연수, 관장=강경신)은 오는 8일 오후 3시 배화여자대학교 캠벨홀에서 미국인 여의사 로제타셔우드 홀 탄생 130주년 기념예배 및 강연회를 연다. 예배 설교는 이 철 감독회장이 맡았고, 강연회는 홍승표박사(한국기독교역사학회 연구이사)가 강의한다. ◆예장 통합 여전도회 계속교육원 졸업예배·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여전도회전국연합회 계속교육원(이사장=김순미)는 18일 오전 11시 여전도회관 2층 대강당에서 계속교육원 졸업예배 및 수료식을 갖는다. 오전 9시 반부터 리루이시홀에서 졸업가운을 배부하고 개인사진 촬영을 진행한다. ◆침례교 여성선교연합 세계여성기도일·기독교한국침례회 전국여성선교연합회(회장=김정득권사)는 지난달부터 연말까지 한 주일을 ‘전국여성선교연합회 주일 및 세계여성기도일’로 지킨다. 고난받는 여성과 어린이를 위한 기도를 드리는 날이다. 공통 기도제목과 프로그램 책자, 영상 필요시 보급하고 있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여성 단신
-
-
기감 여선교회 총회 및 이·취임식
- ◇기감 여선교회전국연합회는 제55회 총회를 개회하고, 전국연합회 신임 임원들을 선출했다.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회장=이정숙장로)는 지난 23일 여선교회관 9층에서 제55회 총회를 열어 임원을 선출하고, 이취임식을 가졌다. 이날 여선교회원들은 선교사명과 비전을 재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연합회는 새 회기의 주제로 「그대, 선교의 딸! 이땅에 생명·평화 이루자」를 발표했다. 이날 이·취임식은 전국연합회 이윤정총무의 사회로 열린 가운데, 이정숙회장은 임원들에게 임명장을 수여하고 공로장을 전달했다. 이임하는 임원들은 이임사를 전했고, 전국연합회 임원들은 선서식을 가졌다. 특별히 황은경사모는 축가로 「주의 은혜라」를 불렀다.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임원들은 선서식을 가졌다. 새 임원은 △회계=최경숙권사 △부회계=김구비권사 △부서기=이현영권사 △교육부장=최미영권사 △사회사업부장=한영숙권사 △청소녀지도부장=유순예권사 △문화부장=조혜숙권사 △감사=박금희·김은주권사이다. 여선교회전국연합회 이정숙회장은 “여성들의 인권과 평등한 삶을 위해 뜨거운 열정으로 사역 하기를 멈추지 않았던 선배들. 여선교회의 수 많은 헌신자, 사명자들이 한 마음, 한 뜻으로 신앙의 바통을 주고 받으며 이어온 오늘이다”며, “올 한해도 여선교회를 사랑하고 자긍심을 가지고 활동하는 전국의 많은 여선교회원들이 복음을 들고 여선교회의 전국, 연회, 지방, 개체교회에 이르기까지 한국 감리교회를 지키고, 세우고, 빛냈다”고 격려했다. ◇이임 임원들은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이날 1부 개회예배는 고인경부회장(삼남연회장)의 사회로 열려, 박은화부회장(충청연회장)의 기도, 김정희부회장(호남특별연회장)의 성경봉독, 영상을 통한 말씀묵상, 서정숙부회장(서울연회장)의 헌금기도, 전국연합회임원의 헌금특송 등의 순서로 드렸다. ◇이취임식 개회예배에서 이광호목사가 설교했다. 그리고 2부 이·취임식 개회예배의 설교와 축도는 이광호목사(도봉교회)가 맡았다. 이목사는 「멋진 하나님의 일꾼이 되자」란 제목의 설교에서, 여선교회원들이 맡은 일을 감당할 때 △사랑으로 △부지런하게 △즐거움으로 △섬기는 자세로 할 것을 요청했다. 이목사는 “자신이 속한 이 선교회를 어떻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곳으로 채워갈 것인가에 대한 책임이 있다. 여선교회는 기도하는 자들이다. 기도 속에서 주어진 사명을 감당한다”면서, “감리교회를 건강하게 세워가는 데 있어서 여선교회의 역할이 중요하다. 좋은 리더,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하나님의 일꾼이 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격려사를 전한 백삼현 직전회장은 “우리에게는 행복할 권리,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 권리가 있다”면서, “그리고 우리의 대장은 예수님 한 분뿐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귀한 사명을 겸손함으로 감당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날 총회에서는 여선교회전국연합회는 2024년 사업계획으로 △11연회가 20아시아국가를 품고 선교하는 ‘비전1120 아시아선교’ △기독교적 관점에서 사회선교를 논의하는 ‘사회선교포럼’ △여성긴급전화 1366 수탁 등을 발표했다. 한편 오는 7일부터 8일까지 전국연합회 임원들을 대상으로 1차 정기임원회 및 전국임원 지도력 세미나를 갖는다. 그리고 14일과 15일에 각각 연회임원 세미나를 가질 예정이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기감 여선교회 총회 및 이·취임식
-
-
YWCA-씨티은행,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
- 한국YWCA연합회와 한국씨티은행은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가졌다. 대상 이진희, 젊은지도자상 김보미, 특별상 한분영 수상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와 한국씨티은행(은행장=유명순)은 지난 23일 서울YWCA강당에서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갖고, 사회 속 여성지도력의 확산을 장려했다. 이번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대상은 ㈜베어베터 공동대표에게 주어졌다. 젊은지도자상은 ‘법무법인 원’ 변호사 김보미가 받았다. 또한 특별상으로 덴마트한국인진상규명그룹(DKRG) 한분영 공동대표가 수여했다. 한국YWCA연합회 원영희회장은 시상식에서 “기후위기, 사회적 소외와 갈등이 날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고 정의, 평화, 생명 사회를 만드는 변화를 이끌어 오신 세 분의 수상자를 축하하며, 창립 101주년을 맞는 한국YWCA도 여성지도력 양성과 사회 참여를 위해 적극 활동하겠다”고 밝혔다. ◇대상을 수상한 이진희대표(베어베터) 이번에 대상을 수상한 이진희대표는 “발달장애인 고용은 예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는데, 베어베터를 운영하며 지금은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며, “이런 변화를 만든 것은 자신의 일자리를 충실하게 지켜나간 발달장애 사원과 이들이 배제되지 않고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 동료 직원들이 만든 것이다. 그래서 이 상은 모든 구성원이 받는 상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대표는 “발달장애 자녀를 키우는 부모로서, 자녀가 자기 힘으로 살아갈 수 있을지 모든 것이 깜깜하고 차갑게 느껴졌다”며, “‘베어베터’라는 존재가 그런 막막함과 두려움을 가진 후배들과 가족들에게 조금이나마 등대나 이정표와 같은 존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젊은 지도자상을 수상한 김보미변호사(법무법인 원) 이날 젊은지도자상을 수상한 김보미변호사는 “변호사는 시민단체의 입법과정에 함께하고, 활동가의 길고 치열한 환경운동 과정에 소송을 수행한다. 이런 일은 아주 작은 일에 불과하고, 언제나 기후운동의 주인공은 활동가와 시민들이다”면서, “기후소송에서 이기고 지는 것이 성공과 실패는 아니지만, 지난한 기후운동 과정에서 소송의 승소가 누군가에게 위로가 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물꼬가 될 수 있다. 앞으로도 많은 분들과 의미있는 일을 해나가며,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 든든한 변호사가 되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특별상을 수상한 한분영대표(덴마트한국인진상규명그룹) 특별상을 수상한 한분영대표는 “많은 분들이 해외 입양인의 인권을 포기하지 않고 아낌없이 지원해주셔서 조금이라도 해외 입양인과 가족들의 인권이 향상될 수 있었다”면서, “작년 진실화해위원회가 해외 입양에 대해 조사를 시작하게 되면서 상상할 수 없던 지지와 응원을 받았다”고 말했다. 또한 한 대표는 “우리가 활동하고 사회 변화를 바라는 이유는 우리 마음속에 한국이라는 나라가 있기 때문이다”며, “앞으로도 입양인과 그 가족을 위해, 더불어 해외 입양인 뿐 아니라 오늘날의 한국 어린이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계속 활동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분영 대표는 덴마크 한국입양인들을 위해 덴마크어로 수상소감을 덧붙이기도 했다.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인 「드림위드앙상블」 의 공연 올해 시상식에서는 특별히 국내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인 「드림위드앙상블」의 클라리넷 공연이 진행되었다. 사회적기업 드림위드앙상블의 이옥주 이사장은 “이진희 대표의 강연을 듣고 마음의 큰 도전을 받아 2015년 발달장애인 전문연주단체를 시작하고, 직업 모델로 만들게 되었다”고 소개했다. 한국YWCA연합회는 2003년부터 한국씨티은행의 협력으로 운영하는 한국여성지도자상은 올해로 21회째를 맞았다. 창조와 봉사의 정신을 발휘해 여성지도력 향상에 공헌한 여성지도자에게 대상을, 미래 여성의 역할을 열어가는 50세 이하 여성에게 젊은지도자상을, 문화다양성과 평화, 나눔의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온 여성 혹은 단체에게 특별상을 수여해왔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YWCA-씨티은행,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
-
-
간병돌봄사, 알고 하면 쉽다
- 사회봉사활동가 간병돌봄사 한지혜 이사장 음악은 크리스천이 사용하면 찬양이다. 하지만 세상이 사용하면 슬픔과 부정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간병돌봄사란 직업도 마찬가지다. 환자를 돌보는 일이라 힘들다고 피하다보면 결국 이단에게 빼앗기고 만다. 시대적으로 뱀처럼 지혜롭고 비둘기와 같이 순결해야하는 요즘시대를 우리들은 지나가고 있다. 성경은 행동하며 겸손하면, 겸손과 여호와를 경외함에 대한 보응은 존귀와 재물과 영광이라고 했다. 성도와 교회가 일어나서 죽어가는 이들에게 생명을 전하고 천국소망을 넣어주며, 자신 있게 현실도 헤쳐 나가길 기도한다. 개척교회를 세우고 예수님께서 명령한 영혼구원을 실천하기 위해 성전을 이끌어 가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시대를 접하고 지나가게 되면서 더욱 깊어지는 생활고와 배고픈 목회에 특히 여목사와 목회자 사모들의 눈물은 바다를 이룰 듯하다. 천국복음의 대언자들이 다행히도 이 땅에는 차고 넘친다. 그러나 한손에는 신문과 한손에는 성경을 든 영적사도 즉 목사들은 거의 없는 것이 사실이다. 시대가 이제는 선교지에 도착한 것과 같이 호칭에 상관없이 예수그리스도를 전해야하는 그런 시간 속에 우리들이 있다. 마치 일을 하면 부끄러운 것 같이, 때가 묻는 것같이 생각하는 것은 구시대적인 발상에 지나지 않는다. 간병돌봄사의 일자리가 지금은 하고 싶으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머지않아 자리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일이 생긴다. 한번 시작하면 10년 이상 하는 간병돌봄사가 많기 때문이다. 원하는 것은 믿는 형제들이 하나님의 사랑을 받으면서, 받은 그 사랑을 나누어주는 간병돌봄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깊이 있게 기도하는 것이다. 이 직업을 향해 행동하고 움직이는 영적지도자들에게는 기도와 겸손이 자본이 된다. 그리고 열매를 맺는 영혼구원을 완성시키는 강건한 지도자들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문화 속에 하나님의 참뜻을 이루는 일이 될 것이다. 간병돌봄사의 선교적인 참여는 낮아지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영역이다. 사람의 육체가 얼마나 유리그릇같이 나약한 존재인지도 눈으로 보고 느끼면서, 생명이 귀하고 소중하나 내일 일을 알 수 없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또한 자칫 생명귀함에 예수님의 마음을 놓쳐버릴 수 있는 안일한 마음에도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것은 간병인의 돌봄 과정에 있다. 하나님은 멀리 계신 분이 아니다. 가깝게 계시면서 우리들의 진실한 섬김에 기적과 같은 사랑의 가치가 배어나게 하신다. 사람을 아끼시고 사랑하시는 그분은 우리들에게 처한 환경 속에서 소금의 역할을 기대하고 계신다. 간병돌봄으로 인한 개척교회의 자립과 많은 말보다도 실천하는 행동들 위에 우리들도 존귀함과 존중을 받으며, 사랑의 매개체로서의 빛을 나타내게 된다. 하나님과 합한 마음으로 진정한 기쁨을 누리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환경이 열어지게 된다. 개척교회의 물질적인 자립목적과 복음을 위해 택한 간병돌봄사가 건강을 잃은 자들의 곁에서 기도와 돌봄을 준다면, 더없는 기쁨이 함께하는 축복의 통로로서 진정한 평안이 오리라고 생각한다. 환자의 입장에서도 그리고 보호자의 입장에서도 선한 사람들과의 돌봄을 기다리고 또한 감사하게 생각할 것이다 사랑이 전부이신 우리들의 아버지 하나님. 우리가 모태에 잉태하기 전부터 내가 너를 아노라 하신 하나님. 홀로 왔다가 홀로 가는 인생의 여정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은혜로 날마다 평안으로 가득하게하소서. 주님의 피 값으로 세우신 교회 위에 섬세한 돌보심과 필요를 채워주시고,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가득 하시옵소서. 예수 그리스도께서 흘리신 보혈의 능력으로 우리들의 모든 문제와 삶의 순간 속에 개입하여 주시기를 워하나이다. 그래서 불통이 형통으로, 원망이 회개로, 미움이 용서로 우리들의 심령이 고쳐지는 기적이 체험되게 하시고, 현실에서도 움직이는 성전인 지체가 보여주는 믿음을 허락 하시옵소서, 어제나 오늘이나 영원하도록 동일하신 예수그리스도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간병돌봄사, 알고 하면 쉽다
-
-
YW·YMCA, 세계기도 주간 연합예배
- ◇한국YWCA연합회와 한국YMCA전국연맹은 2023 연합예배를 드리고, 연대의 정신으로 나아갈 것을 다짐했다 6일의 기도주간에 활용할 수 있는 예배자료를 만들어 배포 두 기관의 연대를 통한 사랑과 희망을 키우는 사역에 앞장 2023 YWCA·YMCA 세계기도 주간을 맞아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장로)와 한국YMCA전국연맹(이사장=김신향장로)는 지난 16일 서울YWCA(회장=조연신) 회관에서 연합예배를 드렸다. 이날 서로가 동료 활동가로서 마음을 하나로 묶는 ‘연대’와 ‘화합’의 정신을 기억하며, 선한 영향력을 끼칠 것을 다짐했다. 특히 두 단체는 연대를 통해 사랑과 희망을 키우는 사역에 앞장서기로 했다. 이날 예배는 「씨앗을 심고 꽃이 피기까지: 연대를 통해 희망과 사랑을 키우다」란 주제로 열렸다. 지난 12일부터 18일까지 2023 YWCA·YMCA 세계기도 주간을 맞아 연합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YWCA-YMCA 연합찬양단의 「샤론의 꽃 예수」 특송이 있었다. 이날 예배는 한미미부회장(세계YWCA)의 인도로 열린 가운데, 양다은팀장(한국YMCA)의 여는 기도, 황은식팀장(한국YMCA)과 오경아부장(서울YWCA)의 말씀봉독, 이예림간사(한국YWCA)의 기도에 이어 전수희목사(한국YWCA 여성신학위원)의 설교 등의 순서로 드렸다. ◇전수희목사는 들을 귀 있는 사람에 대해 이야기 했다. 이날 전수희목사(움트다 연구소 대표)는 「오늘, 우리」란 제목으로 설교했다. 전목사는 “예수님은 ‘들을 귀 있는 자는 들으라’고 하셨다. 그 자리, 바닷가에 있는 모든 사람을 향해 말씀하셨다”며, “말귀를 잘 알아듣는 사람, 말씀을 기록하는 사람, 못 알아듣는 사람, 또 풀어서 설명해 주는 사람도 있었을 것이다. 이 말은 ‘잘 듣고, 가서 전해라’, ‘들은 사람이 옆사람을 도와줘라’라는 의미였을 것이다”고 말했다. 그리고 전목사는 “우리는 예수님과 함께할 때 예수님의 음성을 들을 수가 있다”면서, “그보다 우리는 예수님이 계신 자리로 나아가야만 들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씨뿌리는 자’의 예화를 통해 “어디에 뿌려지느냐에 따라 다른 결실을 맺게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씨앗에 싹을 틔워 열매를 맺게 하는 것은 하나님이시다”면서, “그 하나님을 신뢰함으로 나아가야 한다. 우리는 씨를 뿌리는 역할로 부름을 받았다. 하나님께서 내일의 열매를 거둘 수 있도록 인도하실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2부는 한국YWCA연합회 구정혜사무총장의 사회로, 각 단체 회장 및 실무진들의 인사 자리가 있었다. 서울YWCA 조연신회장과 김양선사무총장, 한국YMCA전국연맹 김경민사무총장과 유지재단 안재웅이사장, 한국YWCA연합회 원영희회장 등이 인사말을 전했다. 한편 세계YWCA와 세계YMCA는 세계 에큐메니컬 기독청년 단체로 운동 방향성의 공유를 위해, 매년 11월 중 공동 기도주간을 정하고 공통의 주제와 내용으로 기도하며 연합예배를 드려왔다. 세계YWCA 미라 리제크회장과 세계YMCA 소헤일라 하이예크회장은 서면을 통해 “우리들은 마치 우리가 키우는 식물과 같이 각자가 고유하며 성장하기 위해 다른 관리 방법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의 정원 안에서 자라고 있는 존재들이다”면서, “우리가 하는 운동은 다양한 배경, 문화, 관점을 포용한다. 다양한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정원처럼, 다양성이 아름다움과 힘의 원천임을 여러분들이 인식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또한 두 기관은 6일간 매일같이 활용할 수 있는 예배자료를 만들어 배포했다. 예배자료는 서로 다른 세대와 성별을 대표하는 두 명이 한 쌍을 이루도록 고안되어 만들어졌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YW·YMCA, 세계기도 주간 연합예배
-
-
여성 단신
- ◆이화여대 여성연구원 학술상 시상식·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원장=이은아교수)은 28일 오전 11시 이 연구원 1층 회의실에서 제4회 「이화-현우 여성과 평화 학술상」 시상식을 갖는다. 수상자는 김보화소장(젠더폭력연구소)과 김영옥 상임대표(옥희살롱)이다. ◆예장 통합 여전도회 선교여성의 날 ·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여전도회전국연합회(회장=은정화권사)는 다음달 5일 오전 10시 30분 여전도회관 2층 대강당에서 선교여성의 날 예배를 드린다. 강사는 해군사관학교 해사교회 김영훈군목이다. 이번 예배는 평북연합회가 주관한다. ◆기장 여신도회 정책협의회· 한국기독교장로회 여신도회전국연합회(회장=김정옥장로)는 다음달 5일과 6일 2023 정책협의회를 갖는다. 여신도회 정책협의회는 2년에 1회 열린다. 참석대상은 전국연합회 실행위원과 28연합회 회장, 부회장과 기획부장이다. 첫날 한강희목사(낙산교회)의 주제강연과 ‘학교밖 청소년’ 사역자로 알려진 두현호목사가 특강한다. 이튿날에 여신도회 유미선목사의 성서연구 시간도 마련됐다. ◆기환연 창립 41주년 기념행사 · 기독교환경운동연대(사무총장=이진형목사)는 다음달 5일 오후 7시 향린교회(담임=김희헌목사)에서 「생명의 길을 향한 동행」이란 주제로 창립 41주년 기념 후원행사를 갖는다. 1부에서 함께 식사시간을 갖고, 2부에서 ‘기후정의’를 소망하는 청년의 소리와 아티스트 온봄의 「길 위에서」 공연 등이 마련됐다. ◆월드미션 2024 연합캠프· 월드미션(대표=이 선목사)은 오는 1월 25일부터 27일까지 나사렛대학교에서 「돌파」란 주제로 2024 겨울 연합캠프를 갖는다. 강사는 홍민기목사(라이트하우스 무브먼트), 임우현목사(번개탄TV), 이정현목사(청양교회), CCM 아티스트 손경민목사 등이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여성 단신
-
-
한국YWCA서 한국여성지도자상 선정
- 대상에 이진희대표, 젊은지도자상에 김보미변호사 등 선정 그간 우리 사회에 공헌한 48명의 여성들을 발굴하여 격려 한국YWCA연합회(회장=원영희)와 한국씨티은행(은행장=유명순)은 오는 23일 서울YWCA회관에서 제21회 한국여성지도자상 시상식을 갖고, 장애인 사회참여, 기후정의, 해외입양아 권리개선에 힘써온 수상자 3인의 여성지도력을 널리 알린다. 이번에는 대상에 이진희 공동대표(베어베터), 젊은지도자상에 김보미 변호사(법무법인 원), 특별상에 한분영 공동대표(덴마크한국인진상규명그룹)를 각각 선정했다. ◇이진희공동대표 ◇김보미변호사 ◇한분영공동대표 대상으로 선정된 이진희 공동대표는 장애인들이 일하고 중심이 되는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며, 단순히 일자리 창출을 넘어 발달장애인들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연합회는 “이진희대표는 발달장애인에게 교육이나 훈련 뿐 아니라, 일자리가 가장 필요하다는 점을 알고 2012년 사회적기업 설립했다”면서,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상시 근로자 50인 이상의 민간 기업은 장애인 직원을 3.1% 이상 의무 고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준수하기 어려운 기업과 ‘연계 고용’ 협약을 통해 발달장애인들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발달장애 직원 5명으로 시작한 베어베터는 현재 250여 명이 넘는 회사로 성장해, 고용을 넘어서 제과, 화훼, 인쇄, 커피 제조 영역에서 직무와 작업과정을 쉽게 재구성하고 정밀하게 설계하여 발달장애인이 업무에 숙련되고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평했다. 젊은지도자상에 선정된 김보미변호사는 기후와 환경, 인권 등의 분야에서 사회적 약자를 위한 공익적 법률 활동 지속해 온 공로를 인정받았다. 김변호사는 법무법인 원, 사단법인 선 변호사로 일하며 기후위기와 환경, 난민, 여성 인권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률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김변호사는 베트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며 시위를 진행한 기후활동가가 기업으로부터 형법적, 민법적 책임을 묻는 청구 소송을 당했을 때, 기후활동가들의 시위가 공익적 목적에서 정당성이 있음을 주장하며 기각판결을 이끌어 냈다. 특별상에 선정된 한분영공동대표는 한국사회 입양 과정의 문제를 공론화하고, 해외 입양인의 권리 개선을 위한 활동에 기여한 바를 인정받았다. 1974년 덴마크로 입양된 한대표는 2002년 한국으로 돌아와 정착했고, 이후 한국의 사회복지 시스템 개선 필요성과 입양인들의 정보 접근 권리 보장 등의 문제를 공론화하며 다양한 해외 입양인 권리 개선 활동을 해왔다. 한분영 대표는 300여명의 해외 입양인과 함께 한국 정부에 불법 입양 및 인권 침해 실태조사와 진실규명을 요구하는 등, 한국의 해외입양 제도가 인권의 차원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지적하며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이 국내 사회복지 제도 안에서 충분한 지원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올해로 21회를 맞는 한국여성지도자상은 그동안 48명의 여성지도자를 발굴하여 격려해 왔다. 창조와 봉사의 정신을 발휘해 여성지도력 향상에 공헌한 여성지도자에게 대상을, 미래 여성의 역할을 열어가는 50세 이하 여성에게 젊은지도자상을, 문화적 다양성과 평화, 나눔의 가치를 바탕으로 사회통합 활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해 온 여성 혹은 단체에게 특별상을 수여해 왔다. 지난 20회 한국여성지도자상에는 대상에 김중미작가, 젊은 여성지도자상에 노영선교수(서울대병원)를 선정했었다. 이번 21회 시상식은 오후 2시에 열린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한국YWCA서 한국여성지도자상 선정
-
-
기독여민회서 제26회 종교개혁제
- ◇기독여민회는 제26회 「종교개혁제 참사와 사회적 고통 앞에 선 그리스도인」을 갖고, 사회적 재난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자세와 역할을 고민했다. 유가족이 힘들거나 도움요청때 종교인을 가장 먼저 찾고 생명 경시하는 무관심한 사회적 분위기 속 참사재발 우려 기독여민회(회장=여혜숙)는 지난 7일 영등포산업선교회 3층에서 「참사와 사회적 고통 앞에 선 그리스도인」이란 주제로 제26회 종교개혁제를 열고, 사회적 참사로 고통을 겪고 있는 자들을 향한 그리스도인들과 교회의 역할을 논의했다. 이날 모임에서는, 이어진 사회적 참사 속에서 교회는 고통에 예민하게 반응해야 하며 사회적 재난을 공동체의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포럼은 정책위원장인 이현아목사의 사회로 열렸다. 주제강연은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 활동 해 온 신학자, 정경일박사가 맡았다. 정박사는 「재난 속의 기쁨: 사회적 우애」란 제목으로,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하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고민을 전했다. 정박사는 “거의 10년 동안 세월호 유가족과 함께 활동하고 있는데, 슬픔이나 고난만 있었다면 지금까지 하지 못했을 것이다”며, “당시에 사회적 우울이 굉장히 심했는데, 사회적 참사를 겪은 유가족들이 재난 속에서도 기쁨, 감사, 연대가 있었다”면서 사회적 우애 안에서의 기쁨을 고백했다. 그리고 정박사는 리베카 솔닛의 책 <이 폐허를 응시하라>를 소개하며 “리베카 솔닛은 ‘재난 유토피아’를 말하는데, 이 책은 대재난 속에 피어나는 혁명적 공동체에 대한 정치사회적 탐구를 담고 있다”며, “빚진 마음으로 세월호 유가족 곁에서 함께하는 사람들, 재난 속에서 서로 위로하고 연대하는 그리스도인들의 예배와 기도회가 재난 유토피아이다”고 말했다. 또한 정박사는 “우리가 재난 속에서도 기쁨을 느낄 수 있는 건 재난을 견디게 하는 ‘우정’과 ‘기쁨’의 기술이 있기 때문이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2부 주제 발제에서는 김민아박사(기독교사회선교연대회의)가 「‘목사님’의 자리」란 제목으로 기독교사회운동의 역사적 맥락 안에서 교회의 현실을 진단하고, 활동현장의 이야기를 나눴다. 김박사는 “사회적 참사는 ‘재난’과 다르다”며, “사회적 참사에서 죽음은 ‘불운’에 의한 것, ‘불가항력’적인 것, ‘운명론’적으로 수용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박사는 “사회적 참사로 인한 집단적 고통과 죽음, 그것의 극복을 위한 사회적 노력은 종교와의 접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며, “인간이 마주하는 한계상황에 대한 설명,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열망, 상처의 치유와 회복 등은 오랜 시간동안 종교의 영역이었기 때문이다. 개신교는 사랑의 종교라고 일컬어질 만큼 이웃사랑을 강조한다”고 말했다. 그리고 김박사는 “실제로 유가족들은 힘든 일이 있거나 요청할 내용이 있을 때 가장 먼저 종교인들을 찾는다”면서, “무언가 새로운 실천 방식이 필요할 때, 어딘가에 대고 하소연하고 싶거나 위로 받고 싶을 때, 잃어버린 가족이 생각날 때, 희망을 발견하고 싶을 때, 심지어 ‘삼보일배’를 할 때에도 ‘목사님’을 찾는다”고 전했다. 이날 여혜숙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사회적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그리고 대책 마련 없이 안일하게 처리된 사회적 참사는 또 다음 참사를 불러온다”면서, “생명을 경시하는 탐욕의 사회는 구조적 문제해결의 의지 없이 고통의 악순환은 되풀이된다. ‘사회적 영성’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3부 이야기마당을 통해 참가자들의 개인의 경험과 활동을 공유하며, 서로를 격려하는 시간을 가졌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기독여민회서 제26회 종교개혁제
-
-
여성 단신
- ◆구세군 여성사역부 경북지방 워크숍· 구세군대한본영 여성사역부(부장=장 스테파니)는 13일 오후 3시 구세군 대구일영문에서 경북지방 여성사역부 워크숍을 연다. 2024년 군국여성사역부 표어에 대한 주제강의와 중점사업, 선택사업을 안내한다. ◆기감 여선서 지도자대학 수료예배· 기독교대한감리회 여선교회전국연합회(회장=이정숙권사)는 14일 오전 10시 30분에 여선교회관 9층에서 23기 지도자교육대학 수료예배를 드린다. 기본과정과 중급과정 수료생으로 나뉘어 수료증서를 전달한다. 이 대학은 기본과회원 중심으로 특화된 교육을 진행하며, 감리교 여성지도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이화여대 다문화연구소서 학술대회· 이화여자대학교 다문화연구소(소장=장한업교수)는 17일 오후 2시에 이화여대 포스코관 B152호에서 상호문화 학술대회를 연다. 「외국에서 바라보는 한국- 상호문화 교육적 관점에서」란 주제로 열린다. ◆예장 통합 여전서 실행위 영성훈련 ·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측 여전도회전국연합회(회장=은정화권사)는 22일부터 24일까지 여전도회관을 비롯해 서천, 군산, 김제, 임실, 죽도 등지에서 2박 3일간 제31회 실행위원 영성훈련을 갖는다. ◆새가정 찬양축제· 한국기독교가정생활협회(회장=조성은목사)와 새가정(회장=임성애)은 25일 오후 2시 서울 중랑구 신내감리교회에서 제24회 새가정 찬양축제를 연다. 「코이노니아 하모니아」란 주제로, 아이부터 어른까지 온 세대가 찬양 안에서 하나되는 축제의 장으로 마련된다.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여성 단신
-
-
여신협, 한국·재일·일본 선언문 발표
- ◇여신협은 제5회 한국·재일·일본 여성신학포럼을 통해 연대를 다지고, 기독여성으로서 사회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질 것을 다짐했다. 한국여신학자협의회(공동대표=진미리·강현미)는 최근 제5회 한국·재일·일본 여성신학포럼을 갖고, 포럼기간 중에 논의된 여러 내용을 토대로 ‘우리의 약속 선언문’을 지난 25일 발표했다. 선언문에는 생태주일 성수, 기후위기 정책 모니터링, 생태적 전환 등이 담겨 있다. 이번 포럼을 통해 한국·재일·일본 여성신학자들은 기후위기를 생태학적·신학적·여성의 관점에서 의견을 나눴다. 그리고 포럼 중에 논의된 7가지 내용을 담아 약속 선언문을 만들어 발표했다. 이는 한국어와 일본어로 쓰여졌다. 구체적인 선언문 내용은 △1년 1회 ‘생태주일’을 지킬 것 △기후위기·생태·생태여성신학 자료들을 수집·기록하고 정리할 것 △정부의 기후위기 정책을 모니터링하고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입장문을 낼 것 △기후위기 정책 및 활동을 하는 여성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할 것 △생태전환적 생산·소비 구조를 만들어가기 위해 고민하고 전환해 나갈 것 △기후 불평등으로 억압·차별·배제 당하는 생명들과 연대할 것 △생태친화적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종사자들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좋은 소비자로 연대할 것 등이다. 최은영사무총장은 “언어가 다른 만큼 문화적 거리가 있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둘 사이를 연결해주는 재일 여성들이 한 자리에 모여 3박 4일간 함께 예배하고, 토론하고, 현장을 경험하는 포럼은 우리의 상상 이상으로 역동적이었다”면서, “기후위기와 연관된 여러 차별과의 연관성을 진단하고 함께 생명과 평화의 문화 증진을 모색하며 서로 배움과 현장경험을 통해 국제적 여성연대를 다질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그리스도인으로서 사회문제에 좀더 관심을 갖고 앞장설 것에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한국·재일·일본 여성신학자들은 포럼에서 논의한 내용을 토대로 약속 선언문을 발표했다.(사진은 닫는예배서 일본측이 만들어 온 십자가를 중심으로 둘러 앉아 찍은 사진) 한편 한국·재일·일본 여성신학자들은 1988년 합동세미나를 개최한 이후로, 한 해씩 서로 돌아가며 포럼을 개최하고 있다. 포럼의 두 번째 시즌 5회차(통산 25회)에 해당하는 이번 포럼은 지난 2020년 2월 오키나와에서 포럼을 진행한 이후 코로나 팬데믹으로 2년 이상 만나지 못하다가 올 10월, 한국에서 「기후위기 속 동북아여성들과 함께 찾는 생명과 평화」란 주제로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서울을 비롯한 강원도 일대에서 워크샵, 주제강연, 생태탐방, 현장강의 등의 시간을 가지며, 여성신학자들의 연대를 다졌다. *아래는 약속 선언문 전문이다. 제5회(통산25회) 한국·재일·일본 여성신학포럼은 “기후 위기 속 동북아여성들과 함께 찾는 생명과 평화”라는 주제로 2023년 10월 17-20일, 한국에서 진행되었다. 포럼기간동안 논의된 여러 내용들을 담아 다음과 같이 우리의 약속선언문을 알린다. 第5回(通算25回)韓国・在日・日本女性神学フォーラムは「気候危機において北東アジア女性と共につくるいのちと平和」というテーマに2023年10月17〜20日、韓国で行われた。フォーラム期間中論議された内容を取り入れ次のように私たちの約束宣言文を知らせる。 ① 1년에 한 번 생태주일을 지킨다. ① 毎年一回生態主日(エコロジーを覚える主日)を守る。 ② 기후위기, 생태, 생태여성신학 자료들을 수집, 기록하고 정리한다. ② 気候危機、エコフェミニズム神学*の資料を収集し、記録、まとめる。 ③ 정부의 기후위기 정책을 모니터링하고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입장문을 낸다. ③ 政府の気候危機の政策をモニタリングし、女性神学的な観点から立場を表す文書を出す。 ④ 기후위기 정책 및 활동을 하는 여성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한다. ④ 気候危機の政策などの活動する女性の人材を発掘し、養成する。 ⑤ 생태전환적 생산/소비 구조를 만들어가기 위해 고민하고 전환해나간다. ⑤ 生態転換的な生産・消費の構造を作り上げていくために格闘し転換する。 ⑥ 기후 불평등으로 억압/차별/배제 당하는 생명들과 연대한다. ⑥ 気候不平等による抑圧・差別・排除されるいのちと連帯する ⑦ 생태친화적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종사자들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해 좋은 소비자로 연대한다. ⑦ エコフレンドリーな生産活動に参加し、従事者たちの持続可能な生き方のために良い消費者として連帯する。
-
- 출판/문화/여성
- 여성
-
여신협, 한국·재일·일본 선언문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