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9(금)

[한국 기독교시 다시 읽기 18] 부활의 아침 - 이 수 영

[부활절 아침에 읽는 시] 사망을 걸어 잠근 돌문이 열리듯 진흙덩어리 이 몸 부수겠습니다.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4.19 09:07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최규창.jpg▲ 시인 최규창
 
몸이 향기로운 꽃봉오리였을 때
그 꽃이파리
낱장으로 흩어져 떨어지는 일
상상도 못했습니다
몸이 타오르는 불꽃이었을 때
그 심지 다하도록
흘리는 눈물의 태산
생각도 못해 봤습니다

사망을 걸어 잠근
돌문이 열리듯
이제
진흙덩어리 이 몸
부수겠습니다

저의 손바닥에도
굵은 대못을 박아 주십시오
못자국 선명한
이 두 손으로
주님의 잔에
붉은 포도주를 딸아 올리겠습니다.

예수의 ‘죽음’과 ‘부활’통해 ‘신앙의 삶’에 대한 성찰로 깨닫는 길

이 시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신앙의 삶을 성찰한 고백이다. 예수가 부활한 아침에 그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 화자인 스스로의 신앙에 대한 돌아봄과 새롭게 태어나는 삶을 보여 준다. 화자인 스스로의 신앙의 삶을 돌아보며 예수의 죽음과 우리를 위해 희생한 생애를 깨닫도록 한다. 또한 예수가 부활한 것처럼 화자인 스스로도 돌문이 열리듯 진흙덩어리인 이 몸을 부수겠다고 다짐한다. 그리고 예수가 십자가에서의 고통과 아픔에 동참하고, 승리의 부활에 대한 경배와 기쁨을 형상화했다. 

첫 연은 죽음과 희생을 떠올려 준다. “몸이 향기로운 꽃봉오리였을 때 / 그 꽃이파리 / 낱장으로 흩어져 떨어지는 일 / 상상도 못했습니다”란 구절은 예수의 생애와 죽음을 연상시킨다. 그의 생애 자체가 “향기로운 꽃봉오리”로 함축했고, “낱장으로 흩어져 떨어지는 일”은 십자가 위에서의 죽음을 형상화했다. 그의 생애는 오늘의 모두에게 신앙의 대상이고, 온 인류를 구원해 주는 구주이기 때문에 십자가 위에서의 고난과 처절한 죽음은 “상상도 못했습니다”고 놀라움을 표현했다 누구나가 예수의 죽음은 놀라움일 수밖에 없다. 그리고 “몸이 타오르는 불꽃이었을 때 / 그 심지 다하도록 / 흘리는 눈물의 태산 / 생각도 못해 봤습니다“란 구절은 예수의 사랑과 희생, 눈물을 떠올려 준다. 어둠 속에서 촛불이 스스로의 몸을 태워가며 밝음을 주는 것은, 촛불의 희생에서 비롯된 것이다. 예수의 생애도 동일한 선상에서 이해해야 한다. 그의 개인적인 삶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온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희생했기 때문이다. 눈물도 마찬가지이다. 온 인류를 위해 흘린 안타까움의 눈물인 것이다.

둘째 연은 예수가 부활하듯이 화자인 스스로가 새롭게 태어나기 위해 스스로를 부수겠다는 신앙의 의지에 대한 표현이다. 예수의 무덤을 걸어 잠근 돌문이 열리고, 그 부활의 깊은 의미를 묵상하며 새롭게 거듭 태어나는 삶을 결단한다. “돌문이 열리듯”이나 “부수겠습니다”란 표현은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예수가 돌문을 열고 부활한 것처럼, 화자도 “진흙덩어리 이 몸”을 부수겠다는 것은, 새롭게 태어나겠다고 다짐하기 때문이다. 특히 “진흙덩어리 이 몸”은 창세기 2장 7절인 “여호와 하나님이 땅의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성령이 되니라”란 구절을 떠올린다. 진흙덩어리로 만들어진 이 몸을 부수겠다는 것은, 걸어 잠근 돌문을 열고 부활한 예수처럼 새롭게 태어나겠다는 결의를 보여 준다. 

셋째 연은 십자가에 두 팔과 두 발이 대못으로 박힌 예수의 고통과 아픔에 동참한 자세로 부활의 예수를 경배하는 결연한 신앙을 형상화했다. 화자가 “굵은 대못을 박아 주십시오”라고 간구한 것이나, “못자국 선명한 / 이 두 손”은 예수의 고통과 아픔에 동참한 자세이다. “굵은 대못”과 “못자국 선명한”이란 표현으로 그 고통과 아픔의 깊이를 극대화시켜 준다. 그 두 손으로 “주님의 잔에 / 붉은 포도주를 딸아 올리겠습니다”는 것은 부활승리에 대한 기쁨과 경배의 의미를 담고 있다. 포도주는 신앙생활의 기쁨(사사기 55:1)으로 상징했기 때문이다. 

이 시에서 첫연의 “못했습니다”는 돌아봄, 그리고 “못해 봤습니다”는 깨달음에서 비롯된다. 또한 둘째연의 “부수겠습니다”와 셋째연의 “박아 주십시오”는 결단의 자세, “올리겠습니다”는 경배의 모습이다. 화자의 순수한 신앙에 의한 고백적인 자세를 보여 준다.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 기독교시 다시 읽기 18] 부활의 아침 - 이 수 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