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7.18 14:53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최규창.jpg
 
눈물날 때
하늘 보면
바람 길 보이고

볼을 비비며
다가와서
하늘소식 전해요

기다리고
참고 있으면
무지개가 길되어

꿈망울을
가득 싣고
다가오지요

기쁠 때에
하늘 보면
분홍 길 보이고

다웃지 못한
함박 웃음
뭉개구름 되어요

몽실 몽실
기쁜 꽃망울
휘파람 소리되어

가슴마다
소망의 빛
비춰주어요
- 「보이는 길」 의 전문

김찬양의 동시는 자연과 인간이 하나되는 특징을 지닌다. 자연과 인간이 함께 호흡하며, 살아가는 공동체적 모습을 지향한다. 자연과 인간에 대한 따뜻한 사랑, 위안과 희망, 사랑의 메시지를 전해 준다. 어린이다운 마음의 상태에서 관찰하고, 포착한 동심의 세계를 시적 표현 속에 담아내는 것도, 그의 독특한 시적 발상이다.

「보이는 길」은 ‘하늘’이 주는 소망의 길을 형상화했다. 예부터 지금까지 ‘하늘’은 신앙의 대상이었다. 하늘은 신앙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이 땅에 기독교가 전파되기 이전에는, 우리 조상들이 하늘을 향해 빌었다. 비가 오지 않고 흉년이 계속되면 기우제를 지내고, 가을에 풍년이 들면 감사의 풍년제를 지냈다. 그리고 가정마다 문제가 생기면 정화수를 떠놓고 빌었다. 하늘을 향해 모든 문제를 아뢰고, 위안과 소망의 응답을 간구했다. 그것은 간절한 기도의 행위였다. 하늘에는 모든 것을 해결해 주고 초월할 수 있는 신이 계신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하늘’은 상징적이다. 기독교 신앙의 입장에서 볼 때 ‘하나님’이 될 수도 있고, ‘천국’ 즉 ‘하나님 나라’일 수도 있다.

‘하늘 보면’은 기도의 행위이다. 하늘을 보면 ‘보이는 길’이 있다. 기독교 신앙인들만이 볼 수 있는 길이다. 그 길은 한마디로 집약하면, ‘구원’의 길이다. 그래서 ‘하늘 보면’이란 행위의 그 자체는, 간절한 기도의 모습이다. 일상의 생활 속에서 슬플 때나 기쁠 때마다 하나님께 기도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신앙인의 삶이다. 기도하면 하나님은 슬플 때나 기쁠 때에 위안과 소망을 준다.

화자는 눈물 날 때와 기쁠 때에 하늘 향해 기도한다. ‘눈물이 날때’와 ‘기쁠 때’의 기도의 모습에서 응답되는 상황을 전개했다. 눈물이 날 때, 즉 슬플 때에 하늘을 보면 바람의 길이 보인다. 그 바람의 길을 통해 기쁜 소식을 전해 온다. 그 눈물을 참고 견디면 무지개가 길이 되어 꿈을 가득 담아준다. 그것은 희망과 소망이다. 그리고 기쁠 때에 하늘을 보면 분홍의 길이 보이고, 다 웃지 못한 웃음이 뭉게구름이 된다. 그 뭉게구름은 기쁜 꽃망울과 휘파람소리가 되어 소망의 빛이 된다. ‘하늘소식’과 ‘무지개’, ‘꿈망울’과 ‘분홍길’, ‘함박웃음’과 ‘꽃망울’ 등이 위안과 소망을 가득 담아주는 이미지이다.

‘눈물 날 때’와 ‘기쁠 때’는 인간의 삶이다. 누구나가 이러한 일상사 속에서 삶을 영위한다. 그러나 신앙인은 기도생활로 극복한다. 눈물 날때는 간구의 기도를 하고, 기쁠 때도 감사의 기도를 한다. 기도를 통해 위안과 소망, 사랑과 평화의 마음을 지닐 수 있기 때문이다.

김찬양의 시는 오늘의 생활 속에서 잃어버린 동심의 세계를 되찾아 준다. 그의 시에는 봄과 여름, 그리고 가을과 겨울의 갖가지 나무와 꽃, 사물들이 등장하고, 그 자연물과 생활의 소재가 되어 동심의 세계로 인도한다.

이러한 그의 시들은 정형시로의 묘미를 통해 적절한 음악의 노랫말이 되기도 하고,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자연 친화성도 순수한 동심의 세계로 인도해 준다. 또한 눈에 보이듯, 손으로 만져지듯, 지금 여기 앞에 서 있듯이, 생생하게 표현해 준다.

/시인·한국기독교문인협회 전 회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 기독교시 다시 읽기 30] 하나님이 주시는 위안과 소망 - 김찬양의 「보이는 길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