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4-03-28(목)
댓글 0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밴드
  • 페이스북
  • 트위터
  • 구글플러스
기사입력 : 2019.05.08 16:36
  • 프린터
  • 이메일
  • 스크랩
  • 글자크게
  • 글자작게
최규창.jpg▲ 시인 최규창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 「서시」의 전문


이 시는 해방 후에 출간된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서문을 대신하여 쓴 「서시(序詩)」이다. 시집에 수록된 맨 첫 작품이며, 1941년 11월 20일에 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41년은 윤동주가 북간도에서 서울로 유학을 와서 연희전문의 졸업을 앞두고 있을 때였다. 이때는 일제말 수난기에 해당되며, 〈문장(文章)〉 등의 문예지가 폐간되고, 무수한 지식인을 예비검속 및 투옥되었던 암흑기이었다. 

이 시는 우주적 교감으로 삶의 비약과 희망을 형상화시키고, 꿈과 삶의 정직성을 보여 준다. 그것은 기독교신앙으로 비롯되고 있으며, 기독교신앙의 경건과 진솔성을 함축시켰다. 이러한 시는 기독교신앙에 대한 신념의 바탕 위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서시」는 2연 9행으로 되어 있다. 구성상 모두 세 단락으로 나눌 수 있다면, 첫 번째의 단락은 4행까지이며, 두 번째 단락은 5행부터 8행, 그리고 세 번째 단락은 2연의 1행이다. 이 시를 기독교신앙의 측면에서 분석하면 하나님 앞에서의 기도이다. 이 기도는 속죄와 회개, 찬양, 그리고 십자가의 가르침과 십자가의 사명으로 세분하여 분류할 수 있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 한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 나는 괴로워했다”는 속죄와 회개의 모습이다. 1행과 2행은 신앙에 의한 도덕적 결백성을 나타내고 있다. 3행과 4행은 바른 신앙에서 비롯된 윤리적 삶이다. ‘하늘’과 ‘바람’은 절대자, 즉 하나님의 영역이고, ‘부끄러움’과 ‘괴로움’은 세속적 인간의 관습이다. 특히 이 시에서 ‘바람’은 과거의 갈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래서 하나님 앞에서 죽는 날까지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기도하고,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는 신앙적 도덕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4행까지는 삶의 신앙적 자세로 신앙의 지조를 지켜 가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두 번째 단락인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 /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 걸어가야겠다”는 찬양과 십자가의 가르침, 십자가의 사명으로 분석할 수 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는 별을 노래하는 마음의 자세로 하나님을 향한 찬양이나, 신앙의 경건함을 지니겠다는 의지이다. 그리고 “모든 죽어가는 것을 사랑해야지”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 위에서 보여준 가르침을 본받아 살겠다는 결심이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 즉 하나님을 향한 마음으로 예수의 가르침을 지니고 살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7행과 8행인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 걸어가야겠다”는 십자가의 사명을 실천하겠다는 결심이다. ‘나한테 주어진 길’이란 십자가의 길이며, ‘걸어가야겠다’는 십자가의 사명에 대한 실천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세 번째 단락인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는 시대적 상황을 표현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가 담겨있다. 윤동주는 그의 시에서 일제 식민지시대를 어둠의 역사로 규정했으며, ‘오늘밤’은 식민지 상황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이 구절을 하나의 행으로 처리함으로써 새로운 결의를 다지고 있다. 

이러한 「서시」는 윤동주의 좌우명이며, 오늘의 기독교인들에게 신앙적 삶의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부끄러움이 없는 삶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괴로워하는 삶의 길을 가르쳐주고 있다. 
/시인·한국기독교문인협회 전 회장
태그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한국 기독교시 다시 읽기 21] 신앙인의 바른 삶과 실천의지 - 윤동주의 「서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